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의 ‘호위무사’를 자처하고 있다.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에 총대를 메고 나선 데 이어 박 대통령을 개혁적인 대통령으로 치켜세우면서 자로 잰 듯 보폭을 맞추고 있다. 외견상 당청이 현안마다 한목소리를 내면서 순풍에 돛단 듯 순항하는 형국이다.
김 대표와 박 대통령을 잇는 연결고리는 한국사 교과서 문제다. 김 대표는 당 회의에서는 물론이고 10·28 재·보궐 선거 지원유세 현장에서 국정화 필요성을 알리는 데 ‘올인’하고 있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에 박 대통령의 강한 의중이 실렸다는 건 정치권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김 대표는 23일 인천 유세에서도 “일이 안 되면 국가 탓, 정부 탓, 사회 탓하면서 한탄하는 것이 우리 청년들 다수”라며 “다른 나라 사람들은 우리나라를 부러워하는데 왜 정작 우리 청년들은 못난 나라라고 자학하고 있나. 이것은 학교 교육이 잘못됐기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김일성 주체사상탑이 70세에 완공돼 그 탑 안에 계단이 70개란 걸 왜 우리 아이들이 배워야 하느냐”면서 “중·고교 역사 교과서를 보면 기가 막혀서 가슴을 칠 정도다”라고 했다.
이어 “박 대통령 같은 개혁적인 대통령을 이제 또 언제 만나겠느냐”면서 지지를 호소했다. “우리 국민을 위해 너무나 할 일이 많은데 국회에서 개혁의 발목을 잡아 정말 허파가 뒤집어지려고 한다”는 격한 표현도 썼다. 박 대통령이 강조해온 노동개혁 관련 5개 법안과 민생·경제활성화 법안 처리를 야당에 촉구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다.
이런 김 대표 언행에 대해선 여러 해석이 나온다. 김 대표 측 인사들은 “김 대표는 평소 ‘박근혜정부가 성공해야 새누리당이 총선과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생각이 확고하다”고 했다. 당청 분열은 막아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는 얘기다.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잠정 합의 후 불거진 여권 내분을 서둘러 수습하고, 공천 룰을 논의할 당내 특별기구 구성 문제를 뒤로 미뤄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물론 총선을 앞둔 전략적 제휴라는 평가도 있다. 어떤 일에도 흔들리지 않는 ‘콘크리트’ 지지율을 가진 박 대통령 없이 김 대표만으로 총선을 치르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친박에선 “대통령과 싸우려면 목숨을 걸 각오를 해야 하는데 김 대표에게서는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말도 나온다.
김 대표는 전날 청와대에서 열린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의 5자 회동에서도 확실하게 박 대통령 편에 섰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
[靑 5자 회동 후폭풍… 더 치열해진 ‘교과서 국정화 전쟁’] ‘호위무사’ 金… 국정화 올인
입력 2015-10-23 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