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이 제기한 문제점 조목조목 반박 ‘불가피성 설명’… 朴 대통령 ‘國定 의지’ 확고

입력 2015-10-23 21:37
박근혜 대통령은 22일 여야 지도부 회동에서 야권의 강력한 반발에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흔들림 없는 추진을 재확인했다. 특히 야당이 제기한 문제점에 대해 조목조목 논리를 들면서 국정 교과서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설명한 것은 교과서 정국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교과서 문제에 대해 강력 반발하는 상황에서도 여야 지도부 회동을 먼저 제안했다. 박 대통령이 원하지 않아도 이 문제가 핵심쟁점으로 부각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알면서도 부딪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다.

박 대통령이 회동에서 역사 교과서 문제에 대해 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 주장에 강력한 톤으로 반박한 것도 이를 보여준다. 박 대통령은 회동에서 “현재 학생들이 배우는 역사 교과서에는 대한민국은 태어나서는 안 될 나라이고 북한이 정통성이 있는 것처럼 서술돼 있다. 이렇게 패배주의를 가르쳐서 되겠나”라고 말했다. 또 “검정 역사 교과서 집필진의 80%가 편향된 역사관을 가진 특정인맥”이라며 “하나의 좌편향 교과서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도 말했다. 이렇듯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박 대통령의 인식은 현행 교과서가 패배주의에서 더 나아가 국민의 자부심을 깎아내리고 있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또 통일시대를 맞는 미래세대에게 올바르고 균형 잡힌 역사를 가르쳐야 국민통합을 이룰 수 있다는 논리도 깔려 있다.

이를 위해선 야당의 강력 반발, 좋지 않은 여론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다음 달 2일 교육부의 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를 밀어붙이고 국정화를 계속 추진하겠다는 게 박 대통령 구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3일 “이념 편향 논란에 휘말리지 않고 균형 잡힌 역사 교과서를 개발한다는 것은 박 대통령의 흔들리지 않는 원칙”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교과서 집필진 구성 등 역사 교과서 국정화 일정이 계속 진행되는 과정에선 언제든 교과서 정국을 돌파하려는 박 대통령의 강도 높은 메시지는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