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6s의 실제 구매 가격이 지난해 아이폰6보다 높아졌다. 출고가는 오른 반면 이동통신사들의 보조금은 축소됐기 때문이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23일 오전 이른 시간부터 아이폰6s 출시 행사를 열고 판매를 시작했다. 가장 인기 있는 아이폰6s 64GB 모델은 99만9900원에 출고가가 정해졌다. 애플이 직접 판매하는 자급제폰 가격(64GB 106만원)보다 6만원가량 낮아졌다.
아이폰6s 16GB는 86만9000원, 128GB는 113만800원이다. 아이폰6s 플러스는 16GB 99만9900원, 64GB 113만800원, 128GB 126만1700원이다.
보조금은 지난해 아이폰6가 처음 출시될 때의 절반 수준이다. 지난해 아이폰6는 최대 25만원의 보조금이 책정된 반면 올해 아이폰6s는 절반 수준인 10만원 초반대다. 이통 3사 중에는 LG유플러스 보조금이 그나마 제일 높았다. LG유플러스는 가장 비싼 10만원짜리 요금제에 가입하면 아이폰6s에 13만7000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대리점 추가 할인 15%를 더하면 최대 15만755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아이폰6s 16GB는 가장 싸게 사면 71만1450원에 살 수 있다. SK텔레콤은 최대 12만2000원, KT는 13만5000원을 보조금으로 지급한다. 가장 많은 가입자가 있는 6만원대 요금제에선 KT가 아이폰6s에 8만2000원, 아이폰6s 플러스에 7만2000원으로 가장 높다. LG유플러스는 아이폰6s에 8만2000원, 아이폰6s 플러스에 7만1000원을 책정했다. SK텔레콤은 두 모델에 6만8000원의 지원금을 실었다.
이통사들이 아이폰6s에 ‘짠물’ 보조금을 책정한 건 “가격과 상관없이 아이폰을 살 사람은 산다”는 계산이 깔려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20% 요금할인 제도가 도입되면서 소비자들이 보조금에 크게 민감해 하지 않는 분위기가 조성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초반에는 서로 눈치를 보면서 마케팅 전략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아이폰6s 출고가 올랐는데 보조금 반토막
입력 2015-10-23 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