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국제해사기구 IMO, 세월호 사고 등 계기 연안 여객선 안전 본격 논의”

입력 2015-10-22 22:43 수정 2015-10-23 00:17

선박과 해상운송 관련 국제 기준을 관리·감독해온 국제해사기구(IMO)가 그동안 관리 대상으로 삼지 않았던 각국의 ‘국내 연안여객선’ 안전 문제에 대해 본격 논의하기로 했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국내 연안여객선 사고가 잇따랐기 때문이다.

임기택(사진) IMO 신임 사무총장 당선자는 22일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가진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세월호 참사가 워낙 충격적인 사고이다 보니 IMO 내부에서 연안여객선에도 규정을 만들어 감독해야겠다는 논의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IMO는 유엔 산하 기구로 해운·조선 관련 항로, 안전, 해양환경, 해상교통규칙, 항만시설 등의 국제 규범을 만들고 그 이행을 감독하는 기구다. 그동안 IMO의 안전규정은 나라별 기술적 격차 등을 이유로 국제선 선박에만 적용돼 왔다.

그러나 2012년 1월 32명이 숨진 이탈리아 유람선 코스타 콩코르디아호 침몰 사고, 2013년 8월 200여명이 사망 또는 실종된 필리핀 연안여객선 토마스 아퀴나스 사고에 이어 지난해 4월 304명이 희생된 세월호 참사가 터지면서 IMO가 연안여객선 안전도 관리·감독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IMO는 국제선 선박에 대한 국제협약 준수 관리·감독 범위도 확대한다. 기존에 국제선 선박이 국제 협약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감독이 개별 선박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내년부터는 IMO가 특정국을 직접 방문해 정부 조직과 관계 법령, 해운사 관계자들의 안전의식 등을 종합 점검하게 된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