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이 심각한데도 있는 물조차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물 공급량 중 11%가 땅속으로 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래돼 낡은 수도관이 문제지만 재원 부족으로 제때 손보지 못하는 실정이다.
환경부의 상수도통계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1년간 공급한 총 물의 양은 61억5900만㎥인데 이 중 6억5600만㎥가 누수로 손실됐다. 전체 물량의 11%이며 금액으로 환산하면 2054억원(변동비 기준)이 사라진 것이다. 노후화된 수도관이 방치되면서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새 나가는 것이다.
특히 특별·광역시보다 규모가 작은 시·군 단위 지자체의 누수율은 15%로 더 높다. 이들 지역의 누수량이 전체 누수량의 80%를 차지할 정도다. 최근 가뭄이 가장 심각한 충남 서부권 8개 지자체의 경우 누수되지 않고 주민에게 물이 도달되는 비율(유수율)이 50∼60%에 불과해 가뭄에 따른 물 부족 상황을 더욱 심화시켰다는 지적도 나온다.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가 이원화돼 관리 주체가 다른 것도 큰 문제로 지목된다. 다목적댐 등 광역상수원을 기반으로 수자원 공사가 직접 관리해 지자체에 물을 공급하는 광역상수도와 달리 지방상수도는 161개 시·군이 개별단위로 관리해 시민들에게 소매로 공급하는 구조다. 전국 대상으로 단일 사업자가 운영하는 광역상수도와 달리 운영 주체가 제각각인 지방상수도는 시설 규모나 재정 여건 등에 따라 관리 상태가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렇다보니 지자체별 수도요금 격차도 크다. 실제 수도요금이 가장 비싼 강원도 정선(1448원)과 가장 싼 경북 청송(326원) 간 차이는 4.4배다. 물 생산원가는 최대 7.8배에 달할 정도다.
한 수자원 전문가는 “지방상수도 운영체계에서는 시설투자나 운영관리가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고 전문성 확보도 어렵다”면서 “지자체별 누수율을 낮추기 위한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노후 상수관망 교체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물 治水가 길이다] 가뜩이나 물 부족한데… 공급량 11%가 땅속으로 줄줄
입력 2015-10-22 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