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26일부터 30일까지 교사들이 연차 휴가를 동시에 사용하고 집단 휴원하는 등 비상운영체제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연합회는 22일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앞에서 학부모 대표, 교사 대표, 원장 대표가 참석하는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가두시위도 벌인다.
연합회에는 전국 민간 어린이집 1만4000여곳이 소속돼 있다. 이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는 77만명에 이른다. 연합회 측은 최소 60% 이상 참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장진환 연합회장은 “근로시간을 준수하고 밀린 연차를 쓰는 일종의 ‘준법 투쟁’”이라고 말했다.
연합회의 요구사항은 누리과정 보육료 30만원 약속 이행과 보육예산 증액 등이다. 연합회 관계자는 “정부가 영아반(만 0∼2세) 보육료 예산을 3% 인상할 것처럼 발표했지만 내년 예산안에는 동결돼 있다”며 “내년도 누리과정(만 3∼5세) 보육료 예산은 교육부에도, 복지부에도 편성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일 광역시·도 보육 담당자들을 불러 대책회의를 열었다. 불법 행위가 있으면 절차대로 엄벌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복지부 관계자는 “보육료 인상이 정부 예산안에 반영되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정부와 여당이 국회 논의 과정에서 인상분을 반영하도록 합의했다. 누리과정 예산도 시·도교육감이 편성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도교육감은 이날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임시총회를 열고 “교육청 재원으로는 할 수 없는 실정이라 2016년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김판 전수민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