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빈 방문 중인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영국이 황금마차까지 동원해 극진히 환대했지만 실제 속마음은 그렇지 않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은 양국 관계를 ‘황금시대의 도래’ ‘새로운 비상’ 등으로 치켜세웠지만, 정작 영국은 중국의 ‘돈’만 바라볼 뿐 진정어린 파트너십을 구축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는 흔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를 두고 AP통신은 “두 나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점점 라이벌 관계가 돼 가고 있고, 인권 문제와 국제 안보 이슈에서도 시각차가 현격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양국의 동상이몽은 20일(현지시간) 웨스트민스터에서 행해진 중국 국가주석 최초의 의회 연설에서부터 역력히 드러났다. 연설에 앞서 존 버커우 하원의장은 “이곳은 미얀마의 아웅산 수치 여사가 연설한 곳”이라며 “그녀는 민주주의와 인권의 상징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의 행동은 전 세계가 지켜본다”며 “중국이 강대국이 아니라 도덕적 영감을 주는 나라가 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는 시 주석 면전에서 ‘중국이 민주적이지 않고 인권도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 때문인 듯 시 주석이 연설하는 11분 동안 의사당 안은 내내 썰렁했다. 시 주석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중국군 24명이 영국 유학 도중 참전했다는 언급까지 하며 “양국 우호의 역사가 깊다”고 여러 번 강조했지만 한 번도 박수가 없었다. 연설을 마친 뒤 기대된 기립박수조차 나오지 않았다.
박수는커녕 시 주석의 중국어 연설 도중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동시통역기를 착용하지 않은 채 앉아 있었다. 일간 가디언은 “총리가 벼락치기로 중국어를 공부했나”라고 꼬집으며 총리조차도 시 주석 연설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현지 언론의 평가도 인색해 일간 텔레그래프는 “상투적 연설이었다”고 비판했고, 파이낸셜타임스도 한 외교 관계자를 인용해 “완벽하게 무의미한 연설이었다”고 혹평했다. 시 주석은 연설 때 셰익스피어의 희곡 ‘템페스트’ 속 대사인 “과거는 서막에 불과하다”는 말을 인용했으나 텔레그래프는 “이 대사는 등장인물이 살인을 부추길 때 쓴 말로 이상한 인용”이라고 보도했다.
반면 중국 관영 인민일보의 자매지 환구시보는 “한층 격상된 양국 관계는 앞으로 중국-서방 간에 모종의 모범적인 정치관계가 형성될 것임을 예고한다”고 자화자찬했다. 제1야당인 노동당 제러미 코빈 당수는 이날 버킹엄궁에서 시 주석을 만나 민감한 중국의 인권 문제를 거론했다. 코빈은 또 값싼 중국산 철강 때문에 자국 철강산업이 타격을 받고 있다는 업계의 불만도 전달했다.
이날 밤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주최로 열린 국빈 만찬에는 찰스 왕세자가 불참해 빛이 바랬다. 대신 윌리엄 왕자와 케이트 미들턴 왕세손비가 참석했다. 빨간색 드레스 차림의 미들턴은 여왕의 모친이 소유했던 다이아몬드 왕관을 쓰고 시 주석 바로 옆에 앉아 이목을 끌었다. 만찬에는 사슴 허릿살 요리가 등장했고 비틀스의 노래가 흘러나왔다. 시 주석은 21일에는 캐머런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300억 파운드(약 54조원) 규모의 투자 협력방안 등 양국 간 역대 최대규모 경협에 합의했다. 특히 영국 내 원자력발전 건설 사업에 중국이 30∼40% 지분을 투자키로 했다. 영국은 중국인에 대한 비자 규제를 대폭 풀었다.
AP통신은 그러나 “시 주석이 어딜 갈 때마다 인권 운동가, 환경 운동가, 티베트인 등이 끊임없이 시위를 벌였고 ‘셰임’(Shame·창피한 줄 알아라)이라는 구호가 울려 퍼졌다”고 전했다. 캐머런 총리의 전략가였던 스티브 힐튼 전 총리실 고문도 BBC방송과 인터뷰에서 “영국은 러시아만큼이나 나쁜 국가인 중국에 레드카펫을 깔아줄 게 아니라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비난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英·中 ‘동상이몽’… 시진핑 의회연설도 썰렁
입력 2015-10-21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