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외도’ 끝낸 친박 의원 대거 귀환… 與‘공천전쟁’ 임박

입력 2015-10-21 20:38
여권 내부에 내년 총선 공천을 둘러싼 마지막 계파전쟁의 전운(戰雲)이 감돌고 있다.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 양대 계파가 당장은 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라는 대형 이슈에 보조를 맞추고 있지만, 물밑에선 조직 정비와 명분 축적으로 빠르면 11월 중 불거질 파워게임에 대비하고 있어서다.

친박계는 내각과 청와대에 차출됐던 친박 의원들의 여의도 귀환으로 조직력을 대거 강화했다. 유기준(3선) 의원과 유일호(재선) 의원이 각각 해양수산부 장관과 국토해양부 장관에서 떠나 원대복귀한 데 이어 재선 윤상현·김재원 의원은 대통령 정무특보직을 사임했다. 여기에 친박계 구심 역할을 맡을 최경환(3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당 대표 출신 황우여(5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복귀도 임박했다는 전망이다. 이들은 친박계의 ‘구심’ ‘전략’ ‘전투력’을 상징하는 인사들이다. 여기에다 당 안팎에서 “이미 공천장을 받아왔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박근혜 대통령의 신임이 두텁다.

친박계 한 핵심의원은 21일 “최근에는 멀어졌던 의원들이 다시 연락을 해오고 있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국회의장·당 대표·원내대표 경선에서 연패하면서 ‘실제 세력은 비박계에 밀린다’는 평가를 떨칠 정도로 최근 세력이 늘었다는 자신감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친박계가 머릿수를 더하며 대공세를 예고하자 비박계는 대응 방안을 찾느라 부심하는 모습이다. 일단 김무성 대표는 ‘명분론’으로 맞받아쳤다. 김 대표는 경남 고성군수 재선거 지원유세에 참석해 “공천을 받기 위해 아부할 필요가 없는 세상”이라며 “공천을 위해 권력 뒤꽁무니나 쫓아다니면서 충성하는 못난 짓은 대한민국에서 추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김해을 새누리당 당협위원장을 맡은 천하장사 이만기 교수도 제가 잘 아는 동생이지만 이 친구가 나한테 전화 한 통 안 했다. (위원장) 선정이 되고 나서도 전화 안 했다. 그래서 국밥집에서 국밥을 먹으면서 야단을 쳤다. 이것이 바로 정당민주주의가 새누리당에 정착되는 과정”이라고 했다. 이어 “이제 내년 4월 총선은 당헌당규에 보장된 대로 100% 상향식 공천을 반드시 이루겠다고 여러분 앞에 약속하겠다. 우리 새누리당이 내년 4월 총선에서 그래야 승리한다”며 전략공천 반대를 분명히 했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현행 당헌당규의 당원투표와 국민투표(또는 여론조사) ‘5대5’ 반영 비율을 놓고 ‘줄다리기’를 벌일 전망이다. 김 대표 측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비율을 70∼80%까지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친박계 다수는 현행 당헌당규상으로도 국민 의사를 반영한 상향식 공천이란 점을 강조하며 5대5 비율을 고수하자고 맞서고 있다. ‘우선추천지역제’ 역시 갈등의 또 다른 뇌관이다. 친박계는 새누리당 텃밭인 서울의 강남3구와 대구·경북(TK) 지역에도 우선추천지역제를 적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비박계는 친박계의 요구가 사실상 ‘전략공천’의 부활이라며 맞서고 있다.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