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개발사업 성공하려면 규제 없는 특례지역 지정해야”… ‘국제포럼’서 한목소리

입력 2015-10-21 19:48
산업계와 학계, 중국의 경제 전문가들이 새만금 개발사업의 성공을 위해선 규제 없는 특례지역 지정이 필요하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과감하게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아이디어도 나왔다.

전북과 새만금개발청이 21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진행한 새만금 국제포럼에서는 새만금을 글로벌 경제특구로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개발방안과 투자 유인책이 소개됐다.

송하진 전북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최근 정부가 발표한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 자유무역협정(FTA) 산업단지 조성 계획 등으로 새만금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새만금에 철도와 공항, 항만 등 핵심 기반시설을 조기 구축하고 규제특례지역으로 육성하는 등 범정부적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발제자로 나선 이창수 국무조정실 규제총괄정책관은 “새만금 사업이 성공하려면 100년을 내다보는 글로벌 발전전략을 가지고, 규제로부터 자유롭고 과감한 인센티브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순기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은 “제로베이스에서 규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경쟁력의 퀀텀점프(압축성장)가 필요하다”고 했다.

지난해 한·중 양국이 합의한 새만금 경제협력 개발방안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뤼테 중국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한·중 경협단지를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는 지원을 하는 개방형 경제특구로 건설해야 중국 기업들이 매력을 느낄 것”이라고 조언했다.

포럼에는 국내외 정부 기관 관계자와 학자 등 20여명이 발제자와 패널로 나와 열띤 토론을 벌였다. 산·학·연 인사 150여명이 참석해 경청했다.유성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