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南 심장부에 ‘사이버 도발’… 4차 핵실험도 준비

입력 2015-10-20 22:43 수정 2015-10-21 00:40
이병호 국가정보원장이 20일 국정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를 경청하고 있다. 이 원장은 여야 정보위원들에게 “정치와 절연했다”고 보고했다. 왼쪽부터 한기범 국정원 1차장, 이 원장, 김수민 2차장.국회사진기자단

북한이 최근 청와대와 국회,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 외교안보 부처에 대해 해킹을 시도한 것은 그만큼 사이버전 역량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의미다. 북한은 또 4차 핵실험을 준비하는 등 다방면에서 도발 능력을 배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해킹을 시도한 건 이달 초 국정감사 기간이다. 국회의원, 보좌관들의 개인 컴퓨터를 해킹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감 기간 동안 국회에서는 한·미 군 당국이 새로 마련한 ‘작전계획 5015’가 논란됐다. 전면전 상황에서 적 수뇌부를 타격하고 북한의 국지도발에 대비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북한은 ‘위험천만한 도발’이라며 강하게 반발해 왔다.

이 외에도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 등 안보 분야의 민감한 이슈가 제기됨에 따라 북한은 국감자료를 통해 관련 내용을 입수할 수 있다고 보고 해킹을 시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청와대와 외교안보 부처에 대한 해킹 시도는 완벽히 차단됐다고 국가정보원은 전했다. 특히 청와대는 북한의 해킹 시도가 예전부터 끊임없이 계속돼왔고, 이를 완벽히 차단하고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 집권 이후 지속적으로 사이버전 역량을 강화해 왔다. 지난 8월 군사분계선(DMZ) 목함지뢰 도발 당시에는 대외 공작기관인 225국을 통해 “지뢰 폭발은 청와대에서 날조한 것으로 여론을 만들라”는 지령문도 내린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북한이 사이버전 능력을 강화에 나선 것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보다 적은 비용으로도 효율적으로 정보습득이 가능해졌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또 인터넷상의 혼란을 야기해 ‘남남갈등’을 유발하려는 의도로도 여겨진다.

북한은 또 4차 핵실험 등 전략적 도발 태세 또한 늦추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국회 국정감사에서 “영변 원자로 가동을 휴민트(인적정보)와 테킨트(기술정보)로 지속적으로 관찰하는데, 당장은 아니지만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다만 중국 등 국제사회의 압박과 기술력 부족 때문에 당분간은 도발을 감행하지는 못할 전망이다.

북한은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전후해 핵·미사일 실험 등 도발을 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류윈산(劉雲山) 중국공산당 상무위원이 기념일에 북한을 방문함에 따라 북한 측이 도발을 자제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정원은 “중국이 반대하고 국제사회가 압력을 넣었고, 기술적 준비도 미흡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는 20일 금강산에서 열린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대해 환영 입장을 표시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중국은 행사가 진행되는 데 대해 기쁨을 느낀다”면서 “남북 양측이 관계 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