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中 성장률 하락기조 반영한 대응전략 모색할 때

입력 2015-10-20 18:16
중국의 올 3분기 경제성장률이 시장 전망치(6.8%)보다 높은 6.9%로 발표됐으나 실제 성장률은 이보다 낮을 것이라는 의혹이 해외 전문가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이 올해 성장률 목표치인 7%에 맞추기 위해 통계를 조작했을 것이라는 의구심이다. 부진한 산업생산 등 제반 지표와 성장 실적이 확실히 들어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그도 그럴 것이 인위적 수치를 내놓을 수 있는 중국 당국이 차마 7%라 하지 못하고 6.9%로 발표했다는 점은 실물경기가 예상보다 악화됐을 가능성을 엿보이게 하는 대목이다.

어찌 됐든 공식 발표치마저 6년 반 만에 처음으로 7% 아래로 떨어졌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중국 경제에 대한 불안이 지구촌을 짓누를 수밖에 없다. 산업구조 개편에 따라 서비스업 성장률이 높아졌지만 제조업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되고 수출·수입 등 무역액이 크게 감소한 것은 ‘세계의 엔진’이 식어버렸음을 의미한다. 중국 국유 철강기업 시노스틸이 20일 당국의 개입으로 디폴트 위기를 가까스로 넘긴 점도 실물경제 위기를 보여준다. 중국이 다음 주 열리는 제18기 중앙위원회에서 2016∼2020년 성장률 목표를 연평균 6.5%로 낮출 것이란 소식도 들린다.

중국 성장률 둔화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큰 타격이다. 현재 대중 수출은 한국 전체 수출의 25%나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이다. 따라서 중국 경제구조 재조정에 발맞춰 우리도 산업 정책을 바꿔야 한다. 중국 경제의 중심축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생산에서 소비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이므로 수출 전략이 변해야 하는 건 당연하다. 중국 가공무역 비중도 현저히 낮아지고 있는 만큼 중간재 위주에서 자본재와 소비재 수출 비중을 높이는 등 치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런데 내년 총선을 바라보는 대한민국의 경제사령탑은 ‘반짝 소비 효과’를 내세워 우리 경제가 정상 궤도에 올라서고 있다며 자화자찬만 하고 있으니 걱정이 앞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