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일쯤으로 예상되는 한·일 정상회담은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 간 첫 대좌란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2013년 2월 취임한 박 대통령과 2012년 12월 재집권한 아베 총리는 양자회담을 단 한 번도 하지 못했다. 이명박정부 말기에 악화된 양국 관계를 여태 풀지 못해서다. 두 사람의 만남이 이뤄지면 3년 반 만의 한·일 정상회담이다. 양국 국민은 어떤 난관이 있더라도 이번 회담이 반드시 성사되길 기대하고 있다.
한민구 국방장관과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이 20일 서울에서 회담을 가진 것은 양국 관계에 일정한 진전이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일본 방위상의 방한은 4년9개월 만이다. 일본 측이 집단자위권 행사를 위한 안보법제 제·개정에 관해 한국 측에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기 위한 자리지만 한국 측이 그의 방한을 수용한 것은 양측에 화해협력의 기류가 흐르고 있음을 말해준다. 지난 18일 일본 가나가와현 앞바다에서 열린 해상자위대 관함식에 우리 해군이 대조영함을 참가시킨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일본 정치인들의 행태를 보면 과연 대한(對韓) 친선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다. 정상회담을 불과 10일가량 남겨놓은 상태에서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집단 참배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현직 각료 3명을 포함한 국회의원 72명이 신사를 참배했으며, 아베 총리는 직접 참배하지 않았지만 공물을 바쳤다. 성공적 회담을 위해 분위기를 조성하지는 못할망정 침략전쟁을 정당화하는 행위를 일삼는 것은 우리 국민을 실망케 한다.
한·일 관계가 장기간 교착된 가장 큰 이유는 아베 정부가 일본의 과거 악행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정상회담의 성공 여부는 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입장의 진전 여하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베 총리가 사전에 별다른 성의를 보이지 않고도 정상회담이 성사된 것을 ‘외교적 승리’로 생각한다면 착각이다. 그 보다는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거론돼 온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최소한의 성의라도 표시해야 할 것이다. 정상회담에서 가시적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아베 총리의 전향적인 자세 변화가 필수다.
[사설] 일본, 朴·아베 첫 정상회담 성공 위해 성의 보여라
입력 2015-10-20 1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