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郡 손잡으니 예산 줄고 님비도 ‘사르르’

입력 2015-10-20 22:22
전북 정읍시와 부안군, 고창군 주민들은 가족 장례를 치르고 화장(火葬)을 하려면 전주나 군산의 화장장을 이용해야 했다. 이동 거리가 멀어 불편한데다, 비용도 해당 지역민에 비해 더 부담해야 했다.

그러나 다음달 13일부터는 정읍시 감곡면에 지어진 광역화장장 ‘서남권 추모공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3만9000여㎡ 규모로 조성된 이 광역화장장은 정읍시와 부안군·고창군 3개 시·군이 각각 59억원, 15억원, 15억원을 부담하고, 국비(53억원)와 도비(11억원)을 지원받아 4년 만에 지어졌다.

화장장은 각 지역에서 꺼려하는 시설이지만 이들 시·군은 주민들을 설득해 님비현상도 극복하고 주민들에게 편리함도 선물하게 됐다. 이 사업은 보건복지부와 행정자치부, 국민대통합위원회로부터 묘지수급·예산효율·지역통합 우수사례로 선정되기도 했다.

전북지역 기초자치단체들이 이웃 지자체들과 서로 손을 잡고, 지역 난제를 풀어가고 있어 상생 협력과 지역화합의 본보기가 되고 있다.

남원시와 순창군, 임실군은 ‘광역재활용품 기계화선별시설 설치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 시설은 각 시·군에서 나오는 생활쓰레기와 재활용품을 한 곳에서 집중 분리해 쓰레기를 줄이는 한편 시설비와 운영비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도 상생 모델로 인정해 사업비의 30%를 지원한다. 남원시 관계자는 “3개 시·군이 이 시설을 각각 설치할 경우 모두 9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지만, 힘을 합치니 30억원이면 충분하게 됐다”고 말했다.

정읍시와 임실군, 순창군은 옥정호를 연계한 지역발전과 생태보전 방안을 찾고 있다. 이들 시·군은 옥정호 상수원 구역이 절반가량 축소되자, 각자의 개발 계획을 추진하려고 갈등을 빚었으나 전북도의 중재로 ‘상생협력선언’을 체결했다. 앞으로 임실군은 기업을 유치하는데 노력하고, 정읍시와 순창군은 관광자원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기로 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옥정호를 생산적 규제로 전환함에 따라 해당 시·군의 현안 사업 추진에도 탄력을 받게 됐다”고 말했다.

전주시와 김제시·완주군 등 3개 시군은 지난달 기업유치 활동과 행·재정 지원 등을 함께 하기로 하는 ‘광역권 기업유치단’ 협약을 했다. 완주군에 30인 이상 기업이 들어서면 전주시가 유치 보조금을 지원하는 형식이다. 이런 사례는 전국 처음이다. 전주시는 공장 용지가 부족해 기업유치가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인접한 시·군과 협력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