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각계각층이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놓고 두 쪽으로 쪼개져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교육의 획일화와 역사왜곡을 강요하는 국정 교과서 제도를 즉각 중단하라”며 시국선언을 했다. 최영도 전 국가인권위원장, 김신일 전 교육부총리,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 소설가 김훈·조정래씨 등 600여명이 동참했다. 참여연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300여개 시민·사회·여성·종교단체도 함께했다.
이날 한국작가회의도 성명을 내고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친일·독재권력이 민주·독립의 역사를 침탈하고자 하는 폭거”라고 비판했다. 성명에는 황현산 문학평론가, 공지영 소설가, 김용택·도종환 시인 등 문인 1217명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교육을 통해 우리가 미래 세대에 가르쳐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나의 의견이 옳은 만큼, 너의 의견도 옳으며 그러므로 함께 옳은 길을 가려면 그 의견들과 오래 만나고 견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날 ‘좋은 교과서, 정직한 교과서, 올바른 교과서를 지지하는 지식인’을 표방한 500여명은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 교과서를 지지하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권영해 전 국방부 장관과 정기승 전 대법관, 류근일 전 조선일보 주필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기존 국사 교과서들은 대한민국이 수치스러운 과거를 가진 부패한 사회라는 어두운 착각을 하도록 하고 있어 청년층 자살과 정신질환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동한다”고 주장했다.
전수민 김남중 기자 suminism@kmib.co.kr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반 확산
입력 2015-10-20 0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