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총회연금재단 사태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이사 임기 논란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연금재단은 급기야 수급자들에게 10월분 연금을 지급하지 못했고 연금수급자회 비상대책위원회는 김정서 전 이사장 등 전 이사 4명의 교회를 방문해 사퇴를 촉구키로 결의했다.
‘총회연금 정상화를 위한 대책위원회’는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전 이사장의 횡포로 인해 연금재단의 업무가 중지됐다. 이로 인해 수급자에게 연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총회 임원회, 연금재단 신임이사회, 연금가입자회, 연금수급자회 등 4개 단체로 구성됐다.
대책위는 “김 전 이사장은 지난달 14∼17일 예장통합 제100회 총회 기간 중 김철훈 연금재단 사무국장 집무실에서 인감을 훔쳐 주거래 은행에 인감 변경을 신청하고 계좌 비밀번호를 교체했다”고 말했다. 또 “김광재 조준래 목사, 손석도 장로 등 3명을 소집해 김 사무국장을 해임하고 지난 8일부터 용역을 동원해 직원들의 사무실 출입을 막았다”며 “이로 인해 연금재단 업무가 마비됐다”고 설명했다. 연금재단은 수급자 750명 전원에 대해 총 11억원 규모의 10월분 연금을 지급하지 못했다.
대책위는 주거래 은행에 있던 자금 중 4억원 정도가 신규 계좌로 옮겨졌고 이 중 5000만원 정도는 이미 사용된 사실을 확인했다. 대책위는 “돈의 사용처는 확인이 안 되고 있다”며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주거래 은행에 지급정지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현재 연금재단 직원들은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에 임시사무실을 마련해 근무하고 있다.
총회는 연금재단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9월 총회에서 새 이사를 연금재단에 파송키로 했지만 주무관청인 종로구청에 정식으로 이사등기가 되지 않아 법적 효력이 없는 상태다. 전두호 연금재단 신임 이사장은 “법적으로는 (신임 이사들이) 연금 지불을 결정할 권리가 없는 상황”이라며 “전 이사들이 사임서를 내는 것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전 이사인 황해국 목사와 임서진 장로만이 19일 사임서를 제출했다.
대책위는 버티고 있는 전 이사들을 압박하기 위해 ‘면직 카드’를 꺼내들었다. 연금수급자회 비상대책위원장 윤두호 목사는 “총회 방침에 따르지 않고 불법을 자행하는 김 전 이사장을 포함해 전 이사 4명의 목사·장로직을 면직시킬 것을 총회장에게 청원키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또 주일마다 이들 교회에 찾아가 이사직 사퇴를 촉구하는 유인물을 교인들에게 나눠주기로 했다. 연금수급자회 목사 14명은 18일 김광재 목사가 시무하는 대구 중구 큰장로길 남신교회를 항의 방문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예장통합 연금재단 750명 10월분 연금 11억원 지급 못해
입력 2015-10-19 2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