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내년 총선에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전면 도입하자는 당내 비주류의 주장을 “현역 기득권 사수를 위한 반(反)혁신”으로 규정하며 강력 반발했다. 하지만 80명의 현역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에 찬성하고 나선 터라 내년 총선 ‘공천룰’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19일 국회에서 열린 혁신위 해단 기자회견에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추진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평가위) 평가를 통한 하위 20% 공천 배제 등 당헌당규로 채택된 시스템 공천안을 무력화하기 위한 시도”라며 “기득권 사수를 위한 반혁신”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그는 이어 “이 시점에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하는 것은 혁신을 피해가기 위한 발상이 아닌가 하는 짐작이 든다”고도 했다.
앞서 최규성 의원은 살인·강도 등 5대 중대 범죄자를 제외하고 당원이라면 누구나 출마할 수 있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했다. 중앙선관위의 관리 하에 역선택 방지 방식의 국민 직접투표로 내년 총선 후보를 뽑자는 것이다. 이 방안은 혁신위에서 마련한 시스템 공천안과 전면 배치되는 내용인 동시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와 상당히 유사하다. 최 의원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제안서에 당 현역 의원 80명의 서명을 받아 의원총회를 소집해 달라고 이종걸 원내대표에게 요청했다. 최 의원은 “현재 당헌 부칙에도 오픈프라이머리가 입법화되면 모든 것에 우선해서 할 수 있도록 돼 있다”고 주장했다.
오픈프라이머리 논란이 당내에서 점화하는 양상이지만 최 의원 제안대로 입법화가 진행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은 많지 않다. 이 제안서에 동의 서명을 한 80명 의원들의 생각이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다만 오픈프라이머리라는 대전제에 공감하는 기류가 확산되면서 내년 총선 공천룰을 두고 당내에 ‘백가쟁명’식의 논쟁이 양산될 가능성도 있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오픈프라이머리라는 대전제에는 공감하지만 각론으로 들어가면 의원마다 주장하는 방식이 다 다른 것 같다”며 “현역들의 기득권 지키기라는 비판도 우려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조은(사진)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은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정치적 셈법에 의한 평가는 없다고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저는 정쟁, 정파, 정치적 셈법을 몰라서 이 자리를 맡았다”며 “전권을 제가 맡아 사심 없이 공정하게, 독립성을 보장받은 평가위가 시스템을 통해 평가할 것을 거듭 말씀드린다”고 했다.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김상곤 “오픈프라이머리 추진은 기득권 위한 反혁신”
입력 2015-10-19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