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대표적 근대유물인 ‘동래역사’가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철거위기에 놓이자 시민·사회단체 중심으로 보존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부산 YMCA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일제 수탈의 역사현장인 동래역사 보존운동에 본격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이들은 “동래역사를 철거해야 할 경우 인근 부지로 옮겨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 등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동해남부선이 부설되면서 193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동래역은 부산의 대표적 근대건축물이다. 1934년 8월 15일 신축한 뒤 수차례 증개축을 했지만 벽돌·나무 구조와 박공지붕 등의 보존 상태가 양호해 등록문화재 지정이 추진돼왔다.
향토사학자들은 “동래역사가 근대건축물을 넘어 우리나라 근대화와 일제강점기 아픔의 상징물로서 보존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학도병과 위안부로 끌려간 이들의 생이별 장소였고, 태평양전쟁 시기에는 동래시장 놋그릇과 학교 종까지 전쟁물자로 수탈해 동래역으로 실어 나르기도 했다.
철도시설공단은 내년 말까지 역사를 철거한 뒤 철도 교량 하부를 통과하는 연결 도로를 개설해 동래역사 남·북 지역을 잇는다는 계획이다.부산=윤봉학 기자
“근대화·일제 수탈의 현장” 동래驛舍 보존운동 확산
입력 2015-10-19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