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주말 내내 대국민 서명운동을 이어가는 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대국민 여론전에 총력을 기울였다.
특히 문재인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를 ‘친일·독재 세력의 후예’로 지목하고 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이들의) 편향된 역사관의 결과”라며 강력 비판했다.
문 대표는 18일 서울 강남의 한 커피숍에서 열린 ‘엄마들이 뿔났다! 친일 교과서 반대 강남·서초 엄마들과의 대화’ 행사에서 “(박 대통령과 김 대표의) 선대가 친일, 독재에 책임이 있는 분들”이라며 “그 후예들이 친일과 독재의 역사를 미화하고 정당화하려는 것이 이번 교과서 사태의 배경이고 발단”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김 대표는 대한민국 역사학자 90%를 좌파라고 했다”며 “자신은 나머지 10%의 역사관을 갖고 있다는 얘기인데 스스로 역사관이 편향돼 있다는 것을 자백하는 것”이라고 했다.
또 문 대표는 이 자리에서 교과서 국정화의 이해당사자인 강남·서초구의 학부모, 학생들을 상대로 “국정 교과서가 오히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난이도를 상승시킬 것”이라고 설명하는 등 홍보에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8종의 검정 교과서를 사용하면 공통적인 내용인 큰 역사적 흐름과 핵심 개념들 쪽으로 출제가 된다”면서 “국정 교과서 한 권에서 출제하게 되면 변별력이 없어 지엽말단적이고 시시콜콜한 것들을 출제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유기홍 의원도 학부모들을 상대로 “전국 역사교사 101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국정 교과서 도입 시 수능이 쉬워진다고 답한 비율은 4.4%에 불과했다”며 “교사 60%는 사교육비가 늘어날 것이라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야권은 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연석회의를 19일 공식 출범시키기로 했다. 이 회의에서 문 대표와 정의당 심상정 대표, 신당 창당을 공식 선언한 무소속 천정배 의원은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400여개 시민단체가 모여 구성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네트워크’도 조만간 연석회의에 참여 의사를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이장우 대변인은 문 대표의 발언에 대해 논평을 내고 “문 대표는 무책임한 허위 선전선동 책임을 지고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근거 없는 선전선동으로 국민을 호도하는 지도자는 이미 지도자의 자격을 상실한 것”이라며 “문 대표는 이성을 되찾길 촉구한다”고 했다.
문동성 고승혁 기자 theMoon@kmib.co.kr
문재인 대표 “박근혜 대통령·김무성 대표 친일·독재 세력의 후예”
입력 2015-10-19 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