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사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과 관련해 “‘국정’을 영원히 하자는 것은 아니다”는 입장을 밝혔다. ‘자유발행제’가 바람직하다고도 했다.
황 부총리는 18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 국정 교과서를 발행하는 나라는 터키 그리스 아이슬란드에 불과하다는 지적에 “그런 나라들은 민족, 종교 분쟁 등 갈등지수가 높은 나라이고 우리나라도 그렇게 분류된다. 나머지 는 이미 자유민주주의 질서, 헌법가치 등에서 화해가 이뤄진 나라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저희도 국정을 영원히 하자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것은 자유발행제”라고 덧붙였다.
역사학계가 ‘좌편향’돼 있다보니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조치가 불가피하지만 ‘한시적’ 조치임을 강조한 것이다. ‘시대에 역행한다’는 비판 여론을 희석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황 부총리의 발언은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이 지난 12일 국정화를 발표하면서 “(보수·진보가) 조금씩 평정심을 찾은 뒤 검인정으로 갈 것”이라고 말한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또 황 부총리는 ‘국정 교과서가 친일이나 독재를 미화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그런 것은 절대 있을 수 없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아마 큰일 날 것”이라며 “그런 교과서가 나온다면 학교 선생님들이 가르치겠느냐”고 반문했다. 국정 교과서 집필진 구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갖고 있다”며 “훌륭한 분들이 다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국정 교과서 개발 예산과 관련해선 “이번에 잘 만들자고 해서 충분히 책정하고 있다. 10억원 이상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도경 기자
[역사교과서 편향성 논란 해부] 황우여 장관 ‘국정화’ 드라이브… “국정교과서 영원히 하자는 것 아냐”
입력 2015-10-19 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