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방미] 朴 대통령, “과거사 넘어 미래로” 日에 관계개선 신호

입력 2015-10-17 02:04
박근혜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 있는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연설한 뒤 CSIS 관계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서영희 기자

미국을 공식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첫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처음으로 언급했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 정상회담이 열리게 되면 박근혜정부 들어 첫 한·일 정상회담이자 이명박 전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당시 일본 총리의 2012년 5월 정상회담 이후 3년6개월여 만이 된다.

박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가진 연설 및 질의응답 시간에 아베 총리와의 정상회담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양국 관계를 가로막는 장애물을 제거하고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을 논의할 수 있다며 의제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달 말∼11월 초로 예상되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한·일 양국은 박근혜정부(2013년 2월), 아베 정권(2012년 12월) 출범 이후 과거사 문제로 양자 정상회담을 개최하지 못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아베 총리와의 첫 정상회담 개최 의사를 피력한 것은 자신의 임기 내 한·일 관계를 기존의 경색관계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으로 가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다만 연설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의미 있는’ 회담이 돼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박 대통령은 양국 간 미래지향적 관계를 거론하며 “중요한 현안이 된, 예를 들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한도 좀 풀어드리고, 우리 국민이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이 문제도 진전이 있게 된다면 의미 있는 정상회담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전향적 태도 변화를 다시 한번 압박한 것이다.

박 대통령이 이처럼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한·일 관계의 최대 현안인 위안부 문제가 돌파구를 찾을지 주목된다. 그동안 일본은 여러 차례 정상회담을 제안해 왔지만 우리 정부는 확답을 주지 않았다. 위안부 문제 해결을 양국 정상회담의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던 이상 이 문제에 일정 부분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위안부 문제는 지금까지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양국은 9차례 국장급 협의를 진행했지만 핵심 쟁점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특히 최근 이뤄진 협의에서는 핵심 현안인 위안부 문제보다는 3국 정상회의 등 다른 주제에 치중하면서 최종 해결은 결국 정상들의 ‘결단’에 달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 많다.

일본 측은 박 대통령의 한·일 정상회담 시사를 환영하면서도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하고 있다.

워싱턴=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