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다음 달 1일쯤 서울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한·중·일 3국 정상회의에 앞서 양국 정상회담을 개최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수행 중인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14일(현지시간) 워싱턴의 한 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11월 1일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느냐’는 질문에 “(한·일 양국 간에) 그렇게까지 (조율)된 건 없다”면서도 “여러 가지 (방안을) 협의 중인데 진통을 겪고 있다. 이게 조절되면 적기에 발표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주 수석의 언급은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계기에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 정상회담이 성사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일이 모두 양국 수교 50주년을 맞아 현재의 냉랭한 관계를 개선할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이번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중·일 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는 관측도 한·일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더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양국은 아직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쿄신문도 양국 정부가 한·일 정상회담을 다음 달 1일 청와대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최종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아베 총리가 당일 오전에 서울을 방문하며 박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한 뒤 3국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방안을 놓고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이달 31일 방한해 박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진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도 했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회담이 성사될 경우 두 정상 모두 취임 후 처음 갖는 한·일 정상회담이 된다. 두 정상은 다자회의를 계기로 잠깐씩 만나 대화를 나눴을 뿐 회담을 가진 적이 없다.
한편 일본 연립여당인 공명당 야마구치 나쓰오 대표는 지난 13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게 전달할 아베 총리 친서를 갖고 베이징을 방문했다고 중국 CCTV 등이 전했다.
조성은 기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jse130801@kmib.co.kr
한·일 정상회담 내달 1일쯤 서울서 열릴 듯
입력 2015-10-16 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