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교회간 협력도 후퇴, 동북아 평화 위해 동행을”… 한·일 NCC, 11년 만의 공동협의회

입력 2015-10-16 00:42
고바시 구이치 일본교회협의회 의장이 14일 서울 종로구 율곡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1200회 수요집회에 참석해 아베 정권을 비판하고 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제공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와 일본교회협의회(NCCJ)가 한자리에 모여 동북아 평화를 위한 양국 교회의 역할과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2004년 1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8차 협의회 이후 11년 만의 만남이다.

두 단체는 15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예배를 드리고 공동협의회 일정을 시작했다. 김영주 NCCK 총무는 인사말을 통해 “세상은 지금 교회를 향해 새로운 도전과 물음을 던지고 있다”며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고 평화와 화해의 역사를 만들어 가는 일에 함께 힘을 쏟자”고 말했다.

고바시 구이치 NCCJ 의장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평화구축을 위한 일본과 한국교회의 역할’이란 주제 강연을 통해 일본이 직면한 상황을 진단했다. 그는 “아베 정권이 이번 안보법안을 국회에서 강행 가결하면서 일본 헌법을 실질적으로 파괴하려 하고 있다”며 “식민지배와 침략, 잔학행위에 대한 진실한 반성과 사죄가 국민들 속에 뿌리내리지 못한 사이 패전을 단지 실패로만 생각하는 이들이 헌법을 파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역설적으로 헌법을 파괴하는 정권의 움직임이 국민에게 국민주권의 자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NCCJ는 일본의 기독교인뿐 아니라 가톨릭 불교 등 타 종교인들, 아베 정권의 폭주를 저지하려는 이들과 함께 연대하며 활동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측 주제 강연자로 나선 NCCK 국제위원회 부위원장인 유시경 대한성공회 교무원장은 “동아시아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고 있는데 그동안 교회의 선교적 협력 관계가 다소 후퇴했다”며 “향후 10년간 자주 만나고 더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그는 “일본교회의 전쟁 책임 고백이 선언적인 데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실천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평화헌법 수호활동을 위해 함께 일본 국회 앞에 가고,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리는 수요집회에도 참석하자”며 다양한 연대 방법을 제안했다.

고바시 의장은 전날 서울 종로구 율곡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1200회 수요집회에 참석했다. 그는 전쟁 피해자들에게 진정한 사죄를 하지 않는 아베 정권을 비판하며 대신 사죄의 뜻을 전했다.

이들은 이날 주제 강연에 이어 정의·평화·여성·청년 등 분과별로 토론을 한 뒤 17일 한·일 교회협의회 명의의 성명서를 채택할 계획이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