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희팔 생존 여부 비롯해 관련 의혹 낱낱이 밝혀라

입력 2015-10-16 00:56
국내 최대 규모의 다단계 사기극 ‘조희팔 사건’이 7년 만에 다시 세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중국에서 붙잡힌 조희팔의 오른팔 강태용씨가 이번 주말 국내 송환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강씨에게서 거액의 돈을 받은 전직 경찰관 정모씨가 중국으로 도망가려다 14일 검거됐다. 대구경찰청 수사2계에 근무하면서 조희팔 사건을 담당했던 인물이다. 강씨가 붙잡혔다는 소식에 중국으로 달아나려다 덜미를 잡힌 것이다. 검찰과 경찰의 재수사 착수에 떨고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라는 얘기가 낭설만은 아닌 것 같다.

조씨는 2004∼2008년 “고수익을 보장하겠다”고 속여 투자자 3만여명으로부터 4조원을 가로챈 뒤 2008년 중국으로 유유히 사라졌다. 지금까지 조씨 일당을 비호하며 금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 검찰·경찰 인사는 모두 7명이다. 이들이 받은 뇌물액은 34억원에 달한다. 조씨 측에 수사 정보를 빼준 경우도 있고, 수사를 못하도록 압력을 넣은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조씨가 도피한 지 4년 뒤인 2012년 경찰은 조씨의 장례식 동영상과 중국 의사의 사망진단서 등을 근거로 “조씨가 2011년 12월 사망했다”고 서두르듯 발표했다. 중국의 서류 곳곳에 허점이 있었는데도 말이다. 그의 사망 발표 후 피해자들은 절망했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이도 있다. 그렇게 사건이 묻히는 듯했다. 하지만 그 후에도 조씨를 봤다는 제보는 이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조씨의 최측근이 잡히자 급기야 강신명 경찰청장은 13일 “조씨가 사망했다고 볼 만한 과학적 증거는 없다”고 털어놨다. 경찰 최고 수뇌부가 당시 수사가 엉터리였음을 자백한 꼴이다.

검찰이 본격적으로 재수사에 착수한 데 이어 경찰도 10명으로 구성된 특별수사팀을 꾸렸다. 강씨가 송환되면 철저한 수사를 통해 조씨와 관련된 각종 의혹을 샅샅이 밝혀야만 한다. 최우선적으로 조씨 사망 여부를 한 점 의혹 없이 확인해야 하며, 도피 과정에서 조씨가 정·관계 인사들의 도움을 받았는지도 파헤쳐야 할 것이다. 비호한 인사들이 있다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벌에 처해야 한다. 이번에는 7년 전의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피해자들은 물론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