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전국 교육감 오늘 ‘교과서 회동’ 진보 14인 움직임은… ‘대안 교재’ 급부상

입력 2015-10-15 02:24

정부가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전환하면서 진보성향 교육감들의 움직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민일보가 14일 국정화 반대 성명을 발표했던 시·도교육청 14곳의 대안교재 개발 움직임을 조사한 결과 인정교과서 개발을 포함해 대안교재 제작·보급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시·도교육청은 서울 인천 강원 충북 세종 광주 전북 등 7곳이었다.

유보적인 교육청은 전남 경남 부산 제주 등 4곳이었다. 경기교육청은 “국정화 저지가 우선”이라며 대안교재 논의를 뒤로 미뤘다. 대전·충남교육청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이다. 교육감들은 15일 강원도에서 열리는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대안교재 발행을 포함해 국정화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일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에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육감들의 움직임에 따라 학교 현장의 ‘파열음’ 크기가 달라질 전망이다.

◇“대안교재에 찬성”=대안교재 발행에 가장 적극적인 교육청은 광주 전북 강원 3곳이다. 강원교육청은 “역사학자·교사 검증을 거친 다양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겠다”, 광주교육청은 “독재적 발상에 맞서 인정교과서(대안교과서)를 만들겠다”, 전북교육청은 “대안교과서나 보조교재를 만들어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15일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국정화에 반대했던 교육감들을 대상으로 공동 대응을 설득할 가능성이 높다.

서울·인천·충북·세종은 대안교재를 만드는 것에 ‘공감한다’는 찬성 입장이다. 다만 실제 행동으로 돌입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못한 상황으로 보인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우리 교육청이 아직 자체 교재를 만들 역량은 충분하지 못하다. 다만 다른 시·도에서 만들면 활용을 검토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논의해보고…”=‘신중 모드’인 시·도교육청들 사이에는 온도차가 있었다. 지역 여건에 따라 득실을 따지는 눈치다. 우선 대안교재에 긍정적이지만 관련 법률 등 검토가 좀더 필요하다는 쪽이 있다. 박종훈 경남교육감은 “실무진에 법률 검토를 지시했다. 검토해보고 법률적 문제가 없으면 대안교재 제작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며 “지역 특성과 여론을 무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작정 다른 지역(광주 등 대안교재 찬성 입장)을 따라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부산 제주 등은 15일 협의회에서 논의해보고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전남은 입장이 좀 다르다. 전남교육청 관계자는 “(대안교재는) 학교 현장에서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 국정교과서의 내용이 실제로 친일과 독재를 미화했을 경우에 대안교재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교육청은 좀더 강경한 입장이다. 조대현 대변인은 “교육감들과 공동으로 국정화를 저지하는 것이 우선이다. 대안교재 개발은 아직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 타협은 없다”고 말했다. 경기교육청의 경우 국정화에 반감이 강하기 때문에 정부가 결국 국정교과서를 만들 경우 대안교재 개발에 참여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이도경 전수민 기자 yido@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