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근현대사’ 비중, 교육과정 따라 늘렸다↔줄었다

입력 2015-10-15 03:49 수정 2015-10-15 21:10
중·고교 역사 교과서에서 근현대사 부분은 정권에 따라 분량이 늘었다 줄었다를 거듭했다. 이번 국정 역사 교과서에서도 근현대사가 수술대에 올랐다. 근현대사는 항상 ‘편향성 논란’을 달고 다닌다. 여당은 현행 검정 교과서들이 ‘반(反)대한민국 역사관’을 바탕으로 근현대사를 서술했다고 지적한다.

통상 근대는 1860년대 흥선대원군 집권 이후, 현대는 1945년 광복 이후를 말한다. 1997년 교육부가 발행한 고등학교 ‘국사’(상·하) 총 503쪽 가운데 근현대사 부분은 32.8%(165쪽)였다. 근대사는 120쪽, 현대사는 45쪽에 불과했다.

노무현정부 때 근현대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비중이 크게 늘었다. 2003년 고교 선택과목으로 ‘한국 근현대사’가 신설돼 검정 교과서 6종이 발행됐다. 350쪽이 넘는 분량에 1636년 병자호란부터 일제 강점기, 분단 과정 등을 상세히 기술했다. 국정 발행 ‘국사’(435쪽)에도 13.6%(56쪽)에 근현대사를 담았다.

이명박정부에선 근현대사 분량이 줄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1년부터 보급된 ‘한국사’ 교과서는 국사와 근현대사를 합쳐 완전 검정제로 발행됐다. 출판사 미래엔이 만든 교과서의 경우 전체 415쪽 중 69.0%(290쪽)를 근현대사에 할애했다. 근현대사의 비율은 늘었지만 분량은 감소한 것이다.

박근혜정부 들어 근현대사 비중은 축소됐다.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지난해부터 고교 신입생이 배우는 한국사 교과서에서 전근대사와 근현대사 비중은 5대 5가 됐다. 현행 금성출판사 교과서는 전체 447쪽의 49.0%(219쪽)에서 근현대사를 다룬다.

2017년에 나올 국정 역사 교과서에선 근현대사가 더 줄어들 전망이다. 교육부는 역사 왜곡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고대사 부분을 강화하고 전근대사와 근현대사 비중을 6대 4 수준으로 바꿨다. 이성권 한국교육정책교사연대 대표는 “근현대사를 축소하면 독립운동사가 줄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행적도 자세히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