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한국사 국정교과서 각계 반응

입력 2015-10-13 02:03 수정 2015-10-13 18:05
정부가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결정하면서 시·도교육감 사이에선 거센 반발과 찬성이 엇갈렸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12일 오후 입장문을 내고 “국정 교과서는 우리 사회가 이룩해 온 민주주의 가치와 자율성, 다원성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다양한 형태와 내용의 교과서로 상상력의 지평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은 기자회견에서 “교육감의 권한으로 할 수 있는 역량을 다해서 대응하겠다. 선택 교과를 개설하고 인정 도서를 개발하겠다”고 강경한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반면 보수 성향의 김복만 울산시교육감은 “균형 잡힌 한 권의 국정 교과서가 교육돼야 한다”며 “서로 다른 시각을 강조한 교과서는 장기적으로 분열을 초래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영우 경북교육감도 “교육중립 차원에서 국정화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와 역사학계에선 반발의 목소리가 나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민족문제연구소 등 400여개 진보단체로 구성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네트워크’는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라며 “국정 교과서는 헌법이 강조하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위배되고 ‘폭넓게 교과서가 채택돼 교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유엔 역사교육 권고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대 국사·역사교육과 등 전국 60여개 역사 관련 학과 학부생과 대학원생, 졸업생 1900여명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국정화는 교과서 제도의 퇴보”라고 주장했다.

입장 표명을 유보해 온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전국 시·도 교총회장 회의 결과를 토대로 “국정화 과정을 통해 올바른 역사교육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며 찬성 입장을 밝혔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