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역사 왜곡 좌편향 교과서 친북 사상 퍼트리는 숙주”… 새누리, 밀어붙이기

입력 2015-10-13 02:15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오른쪽)가 12일 국회 당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왼쪽은 원유철 원내대표. 연합뉴스

새누리당이 박근혜정부의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해 연일 공세적인 여론전에 당력을 집중시키고 나섰다. 중·고교생을 둔 학부모층을 겨냥해 ‘올바른 역사관’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성을 전파하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 야당의 ‘역사 쿠데타’ ‘친일·독재 미화’라는 비판에 맞서 현행 교과서의 오류 및 편향성을 부각시키고 여권의 일방적인 밀어붙이기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포석이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12일 현행 한국사 교과서의 문제점을 일일이 거론하며 정부의 국정화 발표에 힘을 실었다. 김무성 대표는 “부모님들이 아들딸들이 사용하는 역사 교과서를 좀 자세히 들여다보셔야 한다”며 “정말 깜짝 놀랄 것이고 새롭고 올바른 역사 교과서의 필요성을 충분히 공감할 것”이라고 했다. 또 민족문제연구소와 역사문제연구소를 ‘좌파 세력’이라고 지적하면서 “(두 연구소 소속) 인사들이 대거 역사 교과서 집필진으로 현재 참여하고 있다”고 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북한이 가장 바라는 것은 친북과 반국가적 사상으로 대한민국 정체성을 흔들고 국민 분열을 일으키는 것”이라며 “좌편향 교과서가 친북 사상을 퍼뜨리는 숙주”라고 했다. 김영우 대변인은 ‘국정화=유신 체제 회귀’라는 야당 주장에 대해 “김대중정부 당시 한국사 교과서는 줄곧 국정교과서였다”고 했다.

새누리당은 여권이 추진 중인 국정 교과서를 ‘국민통합을 위한 올바른 역사 교과서’라고 이름 붙였다. 현행 검인정 체제로는 특정 이념 성향의 학자와 교육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올바른 교과서’가 채택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는 논리도 폈다. 새누리당은 조만간 현행 한국사 교과서의 오류 및 왜곡 사례집을 내고 세미나와 공청회도 열 방침이다.

당 지도부가 이번 이슈에 계파를 가리지 않고 총력전에 나선 데에는 내년 총선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한 것으로 해석됐다. 첨예한 이념 대립 구도를 보이는 사안인 만큼 보수층 결집 효과를 노려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여권 관계자는 “교과서 문제를 정치적으로 활용할 생각은 없다”면서도 “다음 세대에게 ‘나쁜 교육’을 시키는 상황을 방관할 수 없다는 차원에서 국민 여론도 나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새누리당 역사교과서개선특위의 한 위원은 “현행 검인정 체제에선 하나의 교과서만을 배워서 입시에 대비하기 어렵다”며 “한 교과서에 나오는 팩트가 다른 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없는 문제 때문에 학부모들도 국정 전환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가 지난 5∼8일 19세 이상 20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로 설문한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 포인트), 새누리당 지지율은 전주보다 1.3% 포인트 오른 41.7%를 기록했다. 이는 오차범위 내 미세한 상승치이지만 한국사 교과서 이슈에 힘입어 최근 3주간의 하락세에서 벗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