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대란’ 내년 봄 걱정 태산… 수도권 상수원도 위협 우려·정부 뒷북 대책 100억 투입

입력 2015-10-13 02:07

전국이 시나브로 말라가고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최악의 가뭄으로 내년 봄에 쓸 물이 부족해 논농사를 못 지을 상황이다. 정부도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농업용수 확보 대책을 내놓았다. 수도권의 식수원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 봄 영농기에 가뭄으로 물이 부족할 것에 대비해 농업용수 확보 대책을 펼친다고 12일 밝혔다. 일단 강수량이 평년의 50%에 그칠 것을 전제로 정부 재정 100억원을 투입, 농업용수 부족이 우려되는 저수지 103곳의 용량을 늘리기로 했다. 하천에서 물을 끌어와 담거나 관정을 뚫어 저수지를 채운다는 계획이다. 만약 강수량이 평년의 50% 아래로 내려가는 등 가뭄 상황이 악화될 경우엔 특별교부세를 동원해 국고 지원이 안 되는 시·군 관리 저수지에도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가 이같이 나선 것은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가뭄이 내년 봄이 되기 전 사라지기 어렵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6일 현재 기준 전국 누적 강수량은 754.3㎜로 평년의 62%에 불과해 내년 2월까지 비나 눈이 평년보다 많이 와도 강수량 부족을 해소하긴 힘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당장 심각한 것은 저수지에 저장된 물의 양이다. 농업용수의 경우 봄 모내기철에 집중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비수기에 물을 미리 채워놔야 하지만 현재로선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가뭄이 가장 심각한 충남의 평균 저수율은 31%에 불과하며 전국 저수지 평균 저수율도 45%로 평년(77%)의 58% 수준이다.

김종훈 식량정책관은 “농업용수는 봄 영농기에 집중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지금은 저수지에 물이 충분히 채워져야 할 시기”라며 “내년 봄 농업용수 부족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생활용수도 점점 부족해지고 있다. 지난 1일부터 제한급수가 시작된 충북 서부지역을 시작으로 제한급수 지역은 늘고 있다. 겨울 가뭄까지 계속될 경우 수도권도 지역에 따라 물 부족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이미 10일 기준 인천에서도 제한급수 지역이 추가됐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