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양대 계파 간 치열한 ‘기싸움’이 지속되면서 내년 총선 룰을 정할 특별기구 구성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계파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특별기구가 계파 갈등의 분출소가 될 우려도 커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서청원 최고위원에게 특별기구 구성을 위임했다. 원 원내대표는 양측에 특별기구 위원장으로 4선 중진의 이주영 의원을 추천했고 친박(친박근혜)계도 환영 의사를 밝혀 큰 고비를 넘기는 듯했지만 이번에는 비박계가 ‘계파색이 뚜렷하다’는 이유로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도 이 의원 유력설이 나오자 “신중을 기해야 하고 서둘 일도 없는데 자꾸 그렇게 서둘러서 말을 흘리고 하는 건 옳지 못하다”고 했다. 애초 위원장으로 거론되던 김태호 최고위원이 ‘전략공천’ 및 ‘중진차출론’ 필요성과 ‘컷오프’ 도입 등을 주장하면서 김 대표가 완강히 반대했던 것과 같은 형태다. 여권 고위관계자는 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아직까지 결정된 건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특별기구 구성 협상은 당 지도부의 ‘삼각 담판’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사실상 양대 계파 수장끼리 벌이는 기싸움 성격이 짙은 셈이다. 김 대표 측은 서 최고위원이 “대표가 당을 떡 주무르듯 한다. 가만있지 않겠다”고 공개적으로 작심 비판한 상황에서 공천 룰을 정할 특별기구 구성까지 밀릴 경우 비박 전선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 최고의결집행기관인 최고위원회가 빠르게 친박 성향으로 변모하고 있기 때문이다. 친박계는 공식적으로는 ‘전략공천 불가’ 입장을 밝혔지만 우선추천제도의 폭넓은 활용 필요성도 주장하고 있다.
총선 후보 선출과정에서 당원과 일반 국민 비율 조정 문제도 대립 지점이다. 양측이 공천 룰 협상의 토대로 삼기로 한 당헌·당규에는 당원과 국민 비율이 ‘50대 50’으로 규정돼 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與 ‘공천룰 특별기구’ 또 다른 갈등되나… 계파간 기싸움에 공전만
입력 2015-10-10 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