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일, 정상회담 성사 위해 정성 다하길

입력 2015-10-10 00:38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방한한 야마구치 나쓰오 공명당 대표를 통해 8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한·일 정상회담을 제안하는 친서를 보냈다. 우리 정부도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분위기다. 아베 총리는 친서에서 “1965년(국교 정상화) 이후 양국이 협력하면서 교류와 안정을 유지해 왔으며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는 말을 전해왔다고 한다.

한·일 정상회담은 2012년 5월 이후 3년 반 동안 열리지 않았다. 가장 가까운 거리의 두 나라 관계가 정상적이지 않다는 뜻이다. 이제 미래를 위해, 양국의 공동 이익을 위해 관계를 정상화할 때가 됐다. 올해는 양국 국교 정상화 5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가장 큰 걸림돌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다. 정상회담이 이뤄지려면 아베 총리는 이 문제에 대해 보다 진전된 입장을 내놓아야 한다. 최소한 정상회담을 통해 지금보다는 발전된 공동 인식이 나와야 양국이 가슴을 열고 미래를 위해 협력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다. 아베 총리가 친서에서 ‘미래’를 거론한 만큼 미래를 향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성의를 표시하는 것이 일을 제대로 풀어가는 순서일 것이다.

한·일은 과거사 문제에 얽매이기에는 협력해야 할 일들이 많다. 동북아 안보와 세계 경제, 그리고 북핵이라는 굵직한 현안들에 대해 양국은 각자의 핵심 이익을 위해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한다. 특히 북핵 등 동북아 안보에 있어 한·미·일이 긴밀히 보조를 맞추는 것은 작금의 한반도 주변 정세를 볼 때 상당히 중요하다. 경제 분야에서 한·일이 협력하고 서로 보완해주면 각각 국내는 물론 세계 경제에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양국의 비정상적 관계가 지속되면 한국 내 반일 감정이 높아지고, 일본 내 혐한 세력의 준동이 더 심해질 것이다. 양쪽에 도움이 되지 않는 현재의 관계를 끝내고 미래를 위한 정상회담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