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기간과 영·유아기에 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되면 아이의 평균 체중이 같은 연령대 아이들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지 기능은 비스페놀-A와 수은에 노출될수록 뒤처졌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06∼2010년 서울, 천안·아산, 울산 등지의 산모와 영·유아 723명을 추적 조사한 ‘산모와 영·유아의 환경 유해인자 노출 및 건강영향 연구’ 결과를 8일 공개했다.
연구는 영·유아기(0∼3세)에 노출된 유해인자가 성장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코호트 조사로 진행됐다. 연령별로 비슷한 특성이 있는 집단을 특정 인자에 노출된 그룹과 노출되지 않은 그룹을 나눠 질병과의 관계를 역학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이다.
임신 기간부터 생후 24개월까지 국내 미세먼지(PM10) 연평균 기준 50㎍/㎥ 이상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영·유아는 기준 미만 환경에 놓였던 영·유아보다 약 5% 체중이 적었다. 두 집단의 체중 차이는 생후 12개월에 360g, 36개월에 720g, 60개월에 1114g으로 점차 벌어졌다. 전체 영·유아 몸무게 평균은 12개월 10.1㎏, 36개월 14.5㎏, 60개월 19.1㎏이다.
임신 말기 산모의 비스페놀-A 수치가 1㎍L 증가할 때 생후 36개월까지 영·유아의 평균 동작 점수는 연령대 평균 94.5점보다 1.3점 낮았다. 비스페놀-A는 캔이나 플라스틱 용기, 일부 유아용 젖병 및 치과용 충전제 등에 쓰인다. 수은이 1㎍/L 증가하면 생후 60개월 아동의 인지 점수가 0.91점 낮았다.
환경과학원은 영·유아를 키울 때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고 조리 시 반드시 환기할 것을 권장했다. 젖병과 같은 유아용품은 ‘비스페놀-A 무검출’ 제품 등을 골라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또 임신과 모유수유 중에는 황새치, 상어 등 몸집이 큰 생선은 삼가고 어패류를 1주일에 2번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태아∼영·유아 미세먼지 노출 땐 체중·인지기능 모두 떨어진다
입력 2015-10-09 0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