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연병장에서 열린 ‘제38·39대 합참의장 이·취임식 및 전역식’의 분위기는 어두웠다고 한다. 해군 출신 최초의 합참의장직을 뒤로하고 42년8개월의 군 생활을 마감하는 최윤희 의장이 방산비리로 검찰 수사선상에 올랐기 때문이다. 군복을 벗는 날도 검찰이 그의 부인 금융계좌 등을 압수수색한 것으로 알려져 행사장 분위기는 더욱 가라앉았다. 현역 군인 최고 서열이었던 그는 전역하자마자 검찰 수사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 군으로서는 여간 불미스러운 일이 아니다.
해상작전헬기 ‘와일드캣’ 도입 비리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최 전 의장에 대한 검찰 수사는 그의 퇴임으로 본격화될 전망이다. 검찰은 최 전 의장이 사업 과정에서 와일드캣 제작사 아구스타웨스트랜드의 로비스트로 지목된 김양 전 국가보훈처장(구속)과 접촉한 사실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 전 의장 주변인물에 대한 계좌추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구매시험평가서를 허위로 작성했을 당시 그의 지시가 일부 있었는지를 검찰이 들여다보고 있다. 최 전 의장은 와일드캣이 우리 해군의 차세대 해상작전헬기로 낙점된 2012년 당시 해군참모총장 신분이었다.
현재 최 전 의장은 “몰랐고 (조작하라고) 지시한 적도 없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몰랐다고 해서 감독 부실의 책임까지 면하는 것은 아니다. 설사 그의 말이 사실이라고 해도 합참의장이 의혹의 대상에 올랐다는 것 자체가 우리 군의 수치다. 더욱이 그가 합참의장으로 재직했던 2년 동안 터져 나온 방산비리 규모만 1조원 가까이 된다. 향후 사건의 실체 규명은 검찰이 밝혀내야 할 몫이다. 검찰은 최근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의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철저한 수사로 최 전 의장에 대한 의혹을 낱낱이 파헤쳐야 한다. 최 전 의장도 수사에 적극 협조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 없다.
[사설] 퇴임하자마자 수사선상에 오른 합참의장이라니
입력 2015-10-09 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