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화학상은 ‘생명 현상의 책’으로 불리는 유전자(DNA)의 손상과 복구 메커니즘을 밝혀낸 3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DNA 손상으로 발생하는 노화나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단초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7일 스웨덴 출신의 토마스 린달(77)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명예교수, 폴 모드리치(69) 미국 듀크대 생화학과 교수, 터키계 미국인 아지즈 산자르(69)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바이오화학과 교수를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세 사람은 어떻게 세포가 손상된 DNA를 복구하고 유전정보를 지키는지에 대해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린달 명예교수는 노벨상 수상자를 심사하고 선정하는 스웨덴 왕립과학원 회원으로는 처음으로 영예를 안았다.
우리 몸의 DNA는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담배연기 속 발암물질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런 외부 공격이 없어도 세포가 분열하거나 복제되는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이유로 유전물질이 완전히 분해되거나 혼란을 겪지 않는 이유는 세포 안의 분자시스템이 DNA 변화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손상을 복구하기 때문이다.
1970년대 초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은 DNA를 이루는 분자의 구조가 매우 안정적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린달 교수는 DNA도 여러 이유로 손상될 수 있고, 이런 결함을 수리하는 분자시스템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이후 산자르 교수는 세포가 자외선 때문에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태어나면서부터 이런 복구 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사람이 햇빛에 노출되면 피부암에 걸린다는 점도 알아냈다. 모드리치 교수는 세포가 분열 또는 복제되면서 발생한 DNA 손상을 복구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서강대 화학과 조규봉 교수는 “암은 상당 부분 DNA 유전정보의 이상으로 발생하는데, 우리 몸이 어떻게 DNA를 정상으로 돌릴 수 있는지 밝혀냄으로써 암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말했다. 수상자들은 상금 800만 크로나(약 11억2000만원)를 나눠 갖는다.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노벨화학상, 스웨덴·미국 과학자 3명 공동 수상 “손상된 DNA 회복원리 밝혀 암 치료의 새 가능성 열어”
입력 2015-10-08 0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