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면충돌했다. 비박(비박근혜)계와 친박(친박근혜)계를 대표하는 두 사람이 공개석상에서 언성을 높이며 험악한 장면을 연출한 것이다. 내년 총선 공천 주도권을 둘러싼 계파 갈등도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서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대표가 ‘우선추천지역’(우선추천제)은 수용할 수 있다는 의사를 한 언론에 밝힌 것에 대해 “당 대표가 떡 주무르듯 당헌·당규를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표현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이어 “나는 참고 있다. 청와대도 참고 있다. (김 대표가) 쓸데없는 것을 부각해 긁어 부스럼 만들고 있는데 이제는 용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김 대표는 “전략공천의 폐해를 경험했기에 이를 없애고 정치적 소수자와 현저히 경쟁력 낮은 지역, 취약지역 같은 데에 우선추천을 할 수 있게 하자는 설명을 했을 따름”이라면서 “이게 그 언론사에서 보도된 것까지 책임질 일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김 대표는 또 “이미 많은 과정을 거쳐 당론으로 정해진 상향식 공천, 공천권을 국민에 돌려준다는 약속만 지켜지면 싸울 일이 없고 다른 문제도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서 최고위원은 “나도 공개·비공개 구분하는데 김 대표가 솔직히 언론 플레이를 너무 자주 한다”고 재차 비판했고, 이에 김 대표가 “그만 하자”고 거듭 요구해 회의는 서둘러 비공개로 전환됐다. 이날 최고위원회의는 20대 총선 후보자 공천 방식을 결정할 특별기구를 구성할 예정이었으나 위원 구성을 놓고 계파 간 이해가 충돌하면서 구성안은 의결되지 못했다.
청와대도 친박계에 힘을 실어주고 나섰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경욱 대변인과 박종준 경호차장의 사의 표명을 계기로 “추가로 (총선 출마를 위해) 거취를 표명할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분명히 했다. 그는 “그동안 (내년 총선 출마와 관련해) 청와대 직원들의 거취에 대해 여러 관측과 보도가 있었다”며 “이제 매듭을 지으려고 한다”고 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전략공천을 통해 측근들을 특정 지역구에 내리꽂으려 한다’는 비박계의 주장을 무력화하는 조치다.
여권 내에선 박 대통령의 지난달 대구 방문 이후 전략공천을 통한 청와대 참모들의 대구 지역 총선 차출설이 끊임없이 흘러나왔다. 그러자 김 대표와 비박계에선 “전략공천은 국민의 뜻에 반한다”는 명분을 앞세워 친박계를 공격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친박·비박 ‘공천 주도권’ 충돌… 靑 “전략공천 없다” 교통정리
입력 2015-10-06 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