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로’ 해체 우리손으로 직접 한다

입력 2015-10-06 02:43
2017년 6월 영구 정지(폐로)되는 국내 첫 상용 원전 ‘고리 1호기’가 2022년쯤부터 본격 해체의 길을 걸을 전망이다. 정부는 2020년 이후 세계적으로 가동을 멈추는 원전이 늘어날 것에 대비해 2030년까지 6100억원을 들여 원전 해체산업을 육성키로 했다.

정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원자력진흥위원회를 열고 ‘원전 해체산업 육성정책 방향’을 확정했다. 황 총리는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원전 해체인 만큼 고리 1호기를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라”고 지시했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상업운전을 시작해 2007년 30년인 설계수명이 종료됐으나 가동연장 허가를 받아 2017년 6월 18일 수명이 끝난다. 정부는 가동중지 후 5년 안에 해체 계획서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 승인을 받으면 본격 해체작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정부는 고리 1호기를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해체하려면 최소 5∼6년의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이 필요한 만큼 이에 대한 전략과 기술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지금부터 기술 확보 등 준비를 시작해 완료까지 20년 정도 걸리는 ‘즉시 해체’ 방식을 추진키로 했다. 영국 등은 50∼100년 걸리는 ‘지연 해체’ 방식을 택하고 있다.

정부는 1500억원을 투입해 해체에 필요한 38개 핵심기술 중 아직 확보하지 못한 17개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1500억원을 들여 해체기술 실증, 장비 테스트 등을 위한 ‘원자력시설 해체종합연구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500억원을 투입해 제염 로봇 등 특수 장비도 개발한다. 원전 해체 인력교육 프로그램도 강화한다. 원전 해체에는 250∼300명의 전문인력이 필요하지만 우리나라는 올 4월 말 기준으로 관련 인력이 59명에 불과하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