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협상 타결로 이란이 국제사회에 나올 채비를 하면서 한국 정부와 기업들도 중동 큰손 맞이 준비에 한창이다.
정부는 지난 7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이란과 ‘P5+1’(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독일) 간 이란 핵 협상이 최종 타결된 직후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국내 기업 진출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대이란 제재해제 대비 이란시장 진출지원 계획’을 수립했다.
정부는 원유 매장량 4위, 가스 매장량 2위인 이란과 경제협력을 확대할 경우 우리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석유·화학 및 자동차 부품 등의 수출은 물론 건설과 플랜트, 조선 분야 진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업이 안정적으로 이란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선제적 조치에 나설 계획을 세웠다. 이란 진출 기업 지원센터 구축을 통한 정보제공 강화, 해운협정 체결과 세관협력 등 경제협력 인프라 구축, 중소기업 및 과학기술 양해각서(MOU) 체결 등 정부·기관 간 협력 강화, 보건·의료와 ICT·문화 등 비제재 분야 진출 활성화 등이다.
또 금융 거래 정상화와 무역보험 등 금융지원 확대, 건설·플랜트 수주 지원, 자동차 회사 바이어 초청 및 현지 상담회 개최, 철강 수출 대책반 구성 등 조선·자동차·철강 분야 지원, 유전개발 및 원유수입 확대 관련 지원 등도 점검하고 있다.
기업들도 이란 제재 해제에 대비하고 있다. 일단 건설업체들은 저유가로 중동지역 대형 프로젝트 수주 물량이 급격히 줄어든 가운데 이란이 해외 건설시장의 블루칩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설업계에선 이란이 노후화된 유전 정비와 가스전 개발에 향후 3년간 약 1000억 달러(120조원), 항만·도로·철도 등 낙후된 인프라에 23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국내 정유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유가가 폭락한 상황에서 중동 산유국들이 원유 감산을 거부한 데다 미국도 원유 수출을 하기로 한 상황에서 이란까지 원유 수출에 나서면 수익은 곤두박질칠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 관계자는 “관계부처들끼리 협의해 기업 지원을 준비하고 있다”며 “다만 시장 불확실성이 높고 국가 간 진출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보여 전략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월드 이슈] 자원개발·인프라 투자 기회 활짝 열리나
입력 2015-10-06 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