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오는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전후해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험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기념일 열병식이 관심의 초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북한이 ‘깜짝’ 신무기를 공개하면서 일종의 ‘우회 도발’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진무 한국국방연구원(KIDA) 책임연구위원은 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핵·미사일 실험이 대외적 목적이라면 열병식은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권위를 과시하는 대내적 목적이 크다”면서도 “대내적인 행사로 그칠지, ‘세계를 놀라게 할’ 무기를 공개할지 주목할 만하다”고 말했다.
북한은 2012년과 2013년 열병식에서 사거리가 최대 1만2000㎞로 추정돼 미국 본토를 타격 범위에 넣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KN-08을 공개한 바 있다. 또 2012년에는 무인기를, 2013년에는 핵탄두 소형화를 암시하는 ‘핵 배낭’ 부대를 등장시키기도 했다.
김 연구위원은 “조형물 수준이더라도 ‘은하 3호’ 미사일에 인공위성 대신 탄두를 달아 내보낸다면 이만큼 확실한 무력시위가 없을 것”이라며 “2012년에 공개했던 무인기를 정교화하거나 상상을 뛰어넘는 다른 무기가 나올 수도 있다”고 했다. 김연수 국방대 교수는 “미사일과 장사정포 등 육·해·공 비대칭 전력과 핵 전력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열병식 이후에도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등 고강도 도발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김진무 연구위원은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교시에 따라 대체로 3년 주기로 미사일과 핵실험을 해 왔다”면서 “이로 미뤄볼 때 올 12월 안에 핵·미사일 시험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북한은 지난 세 차례 핵실험에 사용한 플루토늄 핵폭탄 외에 최근에는 고농축우라늄(HEU)을 이용한 핵폭탄도 개발 중이어서 이를 반드시 시험해볼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현재까지는 한·미·중·러·일 모두 ‘북핵 불용’에 공감하고 있지만 실제 북한이 핵·미사일 시험을 감행한다면 대응 수위를 놓고 5자 간 분열이 일어날 소지가 없지 않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직접 도발’ 부담 큰 北, 우회 도발?… 노동당 창건 70주년 앞두고 ‘열병식 행사’에 주목
입력 2015-10-05 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