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가장 많이 먹는 과일은 감귤로 집계됐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15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감귤 소비량은 14.3㎏로 모든 과일을 통틀어 가장 많다. 지난해 감귤에 이어 사과(9.4㎏) 포도(6.5㎏) 배(5.5㎏) 복숭아(4.2㎏) 단감(3.7㎏) 순으로 소비량이 많았다.
1980년 4.2㎏에 그쳤던 1인당 감귤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해 2007년 16㎏으로 정점을 찍고서 2010년 이후에는 12∼14㎏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감귤은 소비 증가와 함께 생산량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감귤 생산량은 72만2000t으로 국내 전체 과실류 생산량(269만7000t)의 26.8%를 차지했다. 1980년 16만1000t이었던 감귤 생산량은 34년 새 약 4.5배로 뛰었다.
감귤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사과의 작년 생산량(47만5000t)은 귤의 3분의 2 수준에 불과하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사과가 줄곧 국내 과일 소비량 1위를 달리다가 1990년대 후반 들어 감귤이 사과를 역전하기 시작했다. 1인당 사과 소비량은 1980년 10.8㎏에서 지난해 9.4㎏로 줄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사과나 배는 깎아 먹어야 하지만 감귤은 손쉽게 먹을 수 있어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선호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감귤 좋아하는 한국인… 작년 1인 14.3㎏ 소비 1위
입력 2015-10-05 0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