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패권 유지… 퇴임 후를 위한 독재적 발상, 새누리 당명 ‘청와당’으로 바꾸는 것이 어떠냐”

입력 2015-10-03 02:45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오른쪽)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일 서울 용산구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노인의 날 기념식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2일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둘러싼 여권의 내전에 대해 “내년 총선에서 친박(친박근혜)의 패권을 유지하고 대통령의 호위무사들을 대거 당선시켜 퇴임 후를 보장받으려는 독재적 발상”이라고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를 맹비판했다. 당 지도부는 청와대엔 총공세를 퍼부으면서 여야 대표 합의 관철에 힘을 쏟았다.

문 대표는 확대간부회의에서 “청와대가 공천 문제에 개입하는 것은 자율과 책임의 정당정치를 부정하는 일”이라며 포문을 열었다. 이어 “여야가 합의한 국회법을 청와대가 휴지로 만들고 여당 원내대표까지 찍어냈던 사건이 바로 엊그제 일”이라며 “그땐 1998년의 ‘박근혜법’을 부정하더니 이번엔 국민참여 경선을 법제화하겠다고 했던 박 대통령의 공약을 부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 대표는 또 “청와대가 권력투쟁에 빠져 공천제도 혁신을 위한 여야 대표 간 합의에 딴지를 거는 것은 삼권분립을 훼손하는 것이고 의회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도발”이라며 “청와대는 공천 문제에서 당장 손을 떼야 한다”고 했다.

지도부 의원도 전원 가세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궁극의 목적이 박 대통령 퇴임 후 상왕정치를 하기 위한 정지작업을 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했고, 주승용 최고위원도 “청와대가 여당 공천에 관여하는 것은 명백한 선거 개입이며, 삼권분립 정신 훼손이고, 민주주의를 부정했던 권위주의 시대로의 퇴행”이라고 거들었다. 전병헌 최고위원 역시 “새누리당 당명을 청와당으로 바꾸는 것이 어떨까 한다. 대통령의 한 마디에 대국민 약속을 뒤집어서는 안 된다”고 했고, 오영식 최고위원은 “청와대가 기침 한번 하면 고개를 숙이는 거수기 역할을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안심번호 제도 자체에 대한 ‘엄호’도 나왔다. 이석현 국회부의장은 “안심번호가 민심을 왜곡할 우려가 있다는데, 기존의 유선전화 여론조사와 달리 20, 30대 연령층의 샘플 확보가 쉬워져 오히려 평균 민심에 부합할 것”이라며 “노인층이 불편하다고 하면 노인층 조사를 위해서는 집전화도 병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