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공천전쟁] 친박 ‘책임론’ 제기… 김무성 “靑, 사실 왜곡”

입력 2015-10-02 03:00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충남 계룡대에서 거행된 건군 67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정치 현안에 대한 언급은 일절 하지 않은 채 북한에 핵 및 장거리 탄도미사일 개발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기념식에 불참했다. 계룡대=청와대 사진기자단

새누리당 내 친박(친박근혜)계가 책임론을 제기하며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철회를 요구하자 김무성 대표는 1일 “사실을 왜곡해 비난하고 있다”고 되받아쳤다. 하지만 날선 공방을 벌이던 청와대와 김 대표는 이날 오후 동시에 확전을 자제하고 나서 총선 공천 룰을 둘러싼 여권 내 갈등이 ‘시한부 봉합’ 국면에 들어섰다는 관측도 나온다.

최고위원회의와 ‘국군의 날’ 기념식 참석 등 모든 일정을 취소한 김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합의를 발표하기 전 청와대에 미리 알렸다”고 내막을 공개했다. 그는 또 “끝나고 난 뒤 (잠정 합의안) 발표문을 그대로 찍어 (청와대 측에) 다 보냈다”고도 했다. 김 대표는 “당 대표로서 어떤 비판도 수용하지만 없는 사실을 가지고 자꾸 비난하면 당이 분열만 된다. 그럼 선거에 불리해진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지난 26일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이 김 대표를 만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추진 의사를 듣고는 “당론으로 정해진 사안도 아닌 데다 문제가 많다”며 반대 의견을 전달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해 조목조목 비판했던 전날과 달리 청와대는 사실 관계 확인 차원에서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만 대응했다.

김 대표는 청와대 해명에 대해 “현 수석이 우려하는 얘기를 한 건 사실이지만 반대라는 표현은 기억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대표는 “굳이 (청와대가 현 수석의 언급을) ‘반대’라고 표현한다면 제가 수용하겠다”면서 “이걸 가지고 청와대와 공방을 벌일 생각이 전혀 없다”며 청와대와의 확전에 부담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양측 충돌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친박계 맏형 서청원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대표는) 안심번호로 국민공천제를 한다는 것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 “국민공천제가 안 되면 우리는 우리대로 가면 되는데 긁어 부스럼을 만들고 당이 이 꼴에 왔다”며 “엉터리로, 미치는 영향도 모르고 대표에게 (아이디어를) 갖다 줘서 협의하도록 한 당내 (김 대표의) 참모도 문제가 있다”고 책임을 물었다.

한장희 남혁상 기자 jhhan@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