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공천전쟁] 청와대, 공격보다는 해명… 당청 정면충돌로 비화는 경계

입력 2015-10-02 02:10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의원회관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 이날 오전 늘 자신이 주재하던 최고위원회의는 물론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국군의 날 기념식까지 불참한 김 대표는 오전 11시쯤 의원회관 자신의 사무실로 출근했다. 이동희 기자

청와대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주도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정면으로 비판했던 전날과 달리 1일 공격보다는 해명 위주의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일단 청와대 입장을 분명하게 전달한 만큼 더 이상의 비판은 자제하면서 지켜보기에 나선 것이다.

다만 청와대는 김 대표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합의했던 여야 대표의 지난 28일 부산 회동을 사전에 청와대에 통보했다고 밝힌 부분에 대해 “당시 만난 것은 사실이지만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김 대표가 만난 분은 청와대 정무수석이고, 지난 26일 (김 대표로부터) 전화가 와서 만났다”고 말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김 대표는 당시 현기환 정무수석을 만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하겠다. 야당 대표를 만나겠다”고 말했다. 현 수석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가 문제가 많다. 반대한다”는 취지의 얘기를 했다고 한다. 이후 김 대표는 28일 여야 대표의 부산 회동 종료 이후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합의 사실을 현 수석에게 다시 알려왔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무수석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가 당론도 아니고 문제가 많은 제도였고, 박근혜 대통령이 당시 유엔외교 일정이 워낙 빡빡한 상황임을 감안해 (대통령에게) 보고를 안 드렸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관련된 내용은) 어제 아침에 박 대통령에게 보고가 됐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특히 김 대표의 관련 내용이 청와대에 ‘보고’ 또는 ‘상의’한 것이 아니라 ‘통보’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청와대가 총선 공천권 문제에 관여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관여하려는 게 아니라 국민 선택에 관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앞으로 사실관계에 대한 설명 외에는 당분간 공개적 입장 표명 없이 당내 논의 상황을 지켜본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특별논의기구를 신설, 공천 룰 논의를 계속하기로 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에 제동이 걸리는 등 일단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뒀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에 청와대가 연일 강경 대응에 나설 경우 청와대의 총선 공천개입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점이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를 계속 자극해 본격적인 당청 정면충돌 국면으로 비화되면 개혁과제 또는 민생 관련 입법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현실적인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현재로선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둘러싼 청와대와 김 대표의 충돌은 잠시 수면 아래로 숨고르기에 접어들었지만 갈등 소지는 언제라도 재점화할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는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한 ‘반대’ 입장은 변하지 않은 것이라는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가 공개적으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는데, 이걸 다시 손바닥 뒤집듯 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