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의 공천 방식을 논의할 새누리당 내 특별기구가 출범도 하기 전에 난관에 빠졌다. 공천 룰을 둘러싼 계파 갈등이 불붙은 상황이어서 위원 선정부터 기 싸움이 치열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구성 주체를 놓고 여당 내 ‘투톱’이 서로 다른 구상을 내놨다. 김무성 대표는 1일 자택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무총장이 안을 만들어야지, 나는 일일이 간섭 안 한다”고 했다. 반면 원유철 원내대표는 “특별기구 구성은 당헌당규에 따라 할 것”이라고 했다. 기구 구성부터 최종 결정까지 최고위 의결사항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됐다.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이후 최고위는 친박(친박근혜)이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특별기구가 가동되면 결국 전략공천 가능성을 열어두느냐의 문제가 최대 쟁점이 될 전망이다. 비박(비박근혜) 쪽에선 “전략공천을 명시하지 않는 이상 청와대가 만족하는 안을 만들 수 없을 것”이라며 “전략공천을 명시하는 순간 김 대표는 정치적으로 매우 힘들어질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친박은 당헌당규대로 상향식 공천을 하되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 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대통령 정무특보인 김재원 의원은 SBS라디오에 출연해 “현재 당헌당규에 이미 전략공천은 없어졌다”며 “우선 추천 방식으로 진행하거나 우리 후보가 경쟁 후보에 비해 경쟁력이 월등히 떨어질 때 한해 경쟁력이 있는 사람을 모셔오는 경우 외에 전략공천은 없다”고 했다. ‘우선추천 지역’의 선정은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를 거쳐 최고위 의결로 확정된다.
당 관계자는 “이미 당내 ‘국민공천 태스크포스(TF)’에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안 될 경우를 대비해 여러 대안을 검토했다”며 “그 이상 새로운 안이 나오기는 힘들 것”이라고 했다.
권지혜 기자
[관련기사 보기]
[與 공천전쟁] 출범도 하기 前에… ‘공천룰’ 특별기구 난관
입력 2015-10-02 0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