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외교장관이 올해 들어 네 번째 외교장관회담을 가졌다. 일본 측은 “한·일 정상회담을 갖자”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우리 측은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우선해야 한다”며 즉답을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30일(현지시간) 유엔본부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과 회담을 갖고 양국관계 전반과 상호 관심사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고 외교부가 1일 밝혔다. 회담에서는 이달 말에서 다음 달 초로 예상되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 관련 사안이 집중 논의됐다.
윤 장관은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준비에 역점을 기울이고 있다. 오늘은 3국 정상회의 준비 문제를 많이 얘기했다”고 말했다. 특히 “3국 정상회의와 관련해 한·일 차원에서는 어떻게 협의하고, 한·중·일 간에는 어떻게 후속조치를 취할 것인지 등을 많이 논의했다”고 전했다.
3국 정상회의와 함께 열릴 것으로 예상되던 한·일 정상회담은 뚜렷한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 윤 장관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스스로 공개석상에서 여러 번 양국 정상회담과 만남을 희망했으며, (일본은) 오늘 회담 과정에서도 그런 희망을 표명했다”고 했다.
이와 관련, 일본 교도통신은 기시다 외무상이 한·일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아베 총리의 뜻을 윤 장관에 전달했으나 윤 장관은 “한·중·일 정상회의를 성과 있게 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양자 정상회담은 다음 단계에서 실무자 간, 국장급에서 후속 협의를 하며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전 없이 한·일 정상회담 일정부터 확정하는 건 시기상조로 보고 즉답을 피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안보법제 통과와 관련해 윤 장관은 일본이 집단자위권 행사 시 한국 등 제삼국 주권의 완전한 존중을 약속한 점을 상기시키고, 후속 정책의 결정과 이행에서 한·미·일 3국 국방 당국 간 긴밀한 협의를 기대했다. 이에 기시다 외무상은 “앞으로도 투명성을 유지해 나가면서 한·일 및 한·미·일 간 계속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윤 장관은 또 일본이 자국 근대산업시설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할 때 약속한 후속조치를 성실히 이행해 달라고 촉구했다. 일본은 지난 7월 조선인 강제노동 시설을 세계유산에 등재하면서 정보센터 설치 등 해당 시설의 ‘전체 역사’를 알릴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日 ‘한·일 정상회담’ 희망에… 韓 “한·중·일 회담 우선”
입력 2015-10-02 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