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30일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둘러싸고 하루 종일 비박(비박근혜) 대 친박(친박근혜) 간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의원총회에서 계파 간 갈등은 정면충돌 양상을 보였고 당론은 모아지지 못했다. ‘공천제도 논의 특별기구’를 설치해 논의를 이어가자는 의견을 모으는 데 그쳤다. 당 내홍의 뇌관은 제거되지 못한 것이다.
친박 의원들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대통령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휴대전화 공천제’라고 표현하며 “19대 총선의 ‘친노(친노무현)몰이용’ 공천 룰이 재포장된 것”이라고 폄하했다.
역시 대통령 정무특보인 김재원 의원도 의총에서 “휴대폰 여론조사 방식에 오차가 있을 수 있고 위헌·위법 논란도 제기될 수 있다”고 했다. 김태흠 의원은 안심전화 국민공천제를 ‘전화국 여론조사 선출’이라고 깎아내리면서 “역선택의 문제점이 해결되지도 않고 노인을 비롯한 정치 무관심층의 참여 저조로 국민여론 왜곡 우려가 크다”고 가세했다.
비박계는 친박계가 의도적으로 ‘상향식 공천안’을 저지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재오 의원은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자는 점에 대해선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주민이 원하는 사람을 공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안심번호를 활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권은희 의원은 20년 전 KT에 근무할 때 직접 안심번호 방식을 개발했다면서 친박 측 ‘오해’를 적극 해명했다. 노년층 휴대전화 응답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에 대해 “통신사에 안심번호를 요청할 때 유선과 무선 번호 비율을 요청하면 된다”며 “유선번호도 안심번호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4·29재보선에서 당선된 오신환 의원은 “내 선거 때도 다 안심번호(공천 방식)를 썼다”며 “경험해보지 못한 의원이 많아 안심번호에 대한 오해가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일부 의원은 청와대가 당의 공천 룰에 직접 관여하려는 모습이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를 전후로 두 차례 열린 비공개 회의에서 김무성 대표와 친박 최고위원들 간 신경전이 벌어졌다. 이정현 최고위원은 “당내 논의나 협의도 없이 야당 대표와 합의를 하는 게 당내 민주주의냐”고 날을 세웠다. 이에 김 대표는 권력자들의 공천 관행을 근절시키겠다는 자신의 정치적 소신을 굽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의 잠정 합의가 확정안이 아니라며 여지를 뒀다.
양측 공방이 이어지면서 최고위 공개회의는 30분 늦게 시작됐다. 김 대표는 공개회의에서 안심번호 방식에 대해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취지 아래 미국식 오픈프라이머리에서 예상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안”이라고 주장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박근혜-김무성 전면전] 친박 “실패한 친노 룰 재포장” 비박 “상향식 공천 왜 막나”
입력 2015-10-01 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