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교단 총회 결산] <2> 산하기관 장악 나선 교단들

입력 2015-10-01 00:09
충북 청주 상당교회에서 지난달 15일 열린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제100회 총회 둘째 날 회무에서 가립회계법인 이천화 이사가 총회연금재단에 대한 특별감사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날 총회는 총회가 파송한 연금재단 이사 전원을 해임하기로 결의했다. 청주=전호광 인턴기자

주요 교단은 9월 총회를 통해 산하 기관에 대한 장악력 강화에 나섰다. 총회의 심부름꾼으로 파송한 각 기관의 이사와 이사장 등이 총회의 뜻을 거슬러 기관을 좌지우지하는 일을 막기 위해서다. 실제로 일부 인사들은 산하기관에 파송된 뒤 이사회를 장악해 이익집단처럼 사리사욕을 추구하며 도덕적 해이를 일삼았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총회장 채영남 목사)은 9월 총회에서 연금재단에 대한 고삐를 바짝 죄고 나섰다. 총회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불법 투자 혐의를 받고 있는 총회 파송 이사 전원을 해임했으며, 재단 이사회가 기금을 직접 투자할 수 없도록 기금운용본부를 해체하고, 전문 금융기관에 기금 운용을 맡기기로 결정했다. 2년마다 연금재단에 대한 외부특별감사를 실시한다는 내용의 연금재단 정관 개정안도 통과시켰다.

예장통합은 아예 ‘총회 산하 기관·단체의 이사 및 감사를 총회가 임면(任免)한다’는 조항도 신설했다. 일단 산하기관에 이사나 감사로 파송되고 나면 자체 임기와 임면조항 등을 근거로 총회의 임면 지시나 결정을 무시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한 총대는 “연금재단처럼 총회에서 파송한 이사들이 총회의 해임결정을 무시하는 일을 막으려면 총회가 정당하게 임면권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예장합동(총회장 박무용 목사) 역시 꼬일 대로 꼬인 ‘총신대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총회본부의 통제권 강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예장합동은 총신대 재단이사 선임을 놓고 총신대와 진통을 겪었다.

예장합동은 이번 총회에서 총회본부가 총신대 의사결정의 최종 인준 기구 역할을 한다는 내용을 분명히 했다. ‘총신대는 총회 지도를 즉시 시행한다’ ‘총신대 재단이사 및 교수는 총회의 결의에 의거 임명된다’ 등의 내용을 정관에 신설했다. 백남선 직전 총회장은 “총신대의 사유화를 막기 위해선 정관 개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한 총대는 “(총신대에) 즉각적인 징벌을 시행하는 대신 새로운 문제해결 창구를 마련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그리스도의교회협의회(그교협)도 이번 총회에서 학교법인 환원학원 정관에 서울기독대학교가 그교협 산하 학교라는 문구를 명시하기로 했다. 임종원 그교협 회장은 “총회와 학교의 법인이 다른데 ‘학교의 미래가 곧 총회의 미래’라는 총대들의 요구에 따라 학교 정관개정을 요구하기로 했다”면서 “총회와 학교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고 설명했다.

예장합동은 산하 기관은 아니지만 이사를 파송해온 재단법인 한국찬송가공회가 총회의 뜻을 따르지 않는 데 대해서도 단호한 조치를 취했다. 총대들은 법인 한국찬송가공회 이사인 서정배 전 총회장에 대해 총회장 예우를 박탈하는 등 관계자 제재를 결의했다. 윤두태 새찬송가위원회 서기는 “교단이 뜻을 모아 세운 단체가 교단의 뜻에 따르지 않는 점, 운영에 있어 교단이 아닌 법인이사가 주체가 되는 점 등이 기본원칙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이용상 최기영 백상현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