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후폭풍… 케이블카 분란 다시 활활

입력 2015-10-01 02:40
최근 정부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 승인 후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케이블카 설치를 다시 추진해 곳곳에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사진은 경남 통영시에 설치된 한려수도 케이블카 모습. 국민일보DB

최근 정부가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을 승인한 이후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에 케이블카 설치 붐이 다시 불면서 곳곳에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30일 전국 지자체 등에 따르면 오색지구 케이블카사업이 지난 8월 28일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의 조건부 승인을 받으면서 지자체들 사이에서 케이블카 설치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지자체들은 환경파괴 최소화를 내세우며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환경단체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전국 곳곳에서 ‘환경보호냐’ ‘지역경제 활성화냐’를 놓고 해묵은 찬반 논란이 뜨겁다.

울산시는 신불산 케이블카 설치를 위해 울산상공회의소와 관광협회 등 지역 시민 사회단체 150개가 참여한 ‘영남 알프스 행복 케이블카 설치 범시민추진위원회’를 지난달 1일 발족하고 100만명 서명운동과 함께 캠페인에 들어갔다. 울주군의회도 이를 지지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신불산 케이블카 반대운동에 최근 조계종 중앙종회가 가세해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조계종 중앙종회는 지난 8일 임시회에서 ‘신불산 케이블카 설치사업 중단 촉구 결의문’을 채택하는 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대구 팔공산 갓바위 케이블카 설치 논란도 다시 수면위로 떠오를 전망이다. 갓바위 케이블카 유치추진위원회는 1982년, 2005년, 2013년 세 차례에 걸쳐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했지만 번번이 ‘문화재 경관 훼손 우려’를 이유로 불허됐다. 하지만 설악산 오색케이블카가 통과되자 ‘갓바위 케이블카 재추진’ 목소리가 나오는 등 2년여 동안 잠잠했던 논란이 재점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남 목포시도 유달산과 고하도를 오가는 2.9㎞의 해상케이블카 설치를 재추진하고 있다.

목포지역 일부 시민사회단체가 환경 파괴 등을 이유로 케이블카 설치를 반대하고 있지만 시민여론 조사 결과 74.4%가 케이블카 추진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 구례군도 산동 온천지구∼노고단 4.3㎞ 구간에서 온천지구∼차일봉 3.1㎞ 구간으로 축소해 케이블카 설치를 재추진하고 있다. ‘반달가슴곰 보호구역’을 모두 피하고 친환경적 케이블카로 설치한다지만 자연환경훼손에 대한 환경단체의 반발이 거셀 전망이다.

2012년 지리산 케이블카 신청이 부결됐던 경남 산청군과 함양군도 설악산 케이블카 승인 이후 최근 노선 단일화를 진행하고 있다. 경남도는 산양·함양군에서 용역비를 출자해 경남개발공사와 공동으로 재추진해 내년도에 사업계획을 신청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지리산권 환경단체는 “홍준표 도지사와 산청군, 함양군에서는 마치 환경부가 지리산 케이블카 허가를 영호남 각각 1곳씩 해 주기로 한 것처럼 호도하면서 주민들을 기만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전국종합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