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수입차 연비과장 조사 정부가 적극 나설 때

입력 2015-10-01 00:46
독일 폭스바겐의 디젤차 배출가스 조작 사건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폭스바겐그룹의 계열사 브랜드인 아우디 등도 조작에 연루된 사실이 드러난 데 이어 독일 메르세데스-벤츠가 연비를 과장 발표했다는 의혹에 휩싸였기 때문이다. 이로써 폭스바겐그룹이 배출가스 눈속임 소프트웨어를 장착한 1100만대의 브랜드별 수치가 속속 확인되고 있다. 폭스바겐 500만대, 아우디 210만대, 스코다 120만대 등이다. 메르세데스-벤츠 승용차의 경우 실제 주행 때 소모된 연료가 평균 48% 많았다는 환경단체 보고서가 나와 ‘연비 조작 스캔들’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폭스바겐그룹은 문제의 차량에 대해 곧 리콜을 통보할 예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번 수리가 연비 악화는 물론 성능 저하, 유지비 증가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소비자들의 우려가 크다. 수리 이후 각국의 환경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순히 리콜만으로는 이번 사태가 불식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 때문에 미국에 이어 한국에서도 폭스바겐을 상대로 한 소송이 30일 처음 제기된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아우디 소유자 2명이 “자동차 매매계약을 취소한다”며 매매대금과 그에 대한 이자를 반환하라는 소송을 내 귀추가 주목된다. 국내에는 해당 차량이 15만대 정도 팔린 것으로 추산된다. 피해를 본 소비자들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폭스바겐 디젤차 조사에 착수한 정부가 실제 도로주행 검사 등을 통해 신속히 그 결과를 내놓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래야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

정부는 국내에 수입된 디젤차의 연비 과장 여부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차제에 국내외 자동차 업체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국내 자동차 업체도 이번 사태의 반사이익만 바라지 말고 더욱 까다로워질 환경 규제에 대비하는 한편 업계 판도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을 면밀히 세워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