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표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잠정 합의를 놓고 새정치민주연합에서도 갈등 조짐이 다시 감지되고 있다. 문재인 대표와 친노(친노무현) 측은 공천룰이 중앙위원회에서 의결된 혁신안이므로 실천만 남았다는 입장인 반면, 비주류 진영은 의원총회 개최 등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맞섰기 때문이다.
문 대표 측과 혁신위원회 등은 여야 대표의 잠정 합의를 통해 공천룰 부분이 사실상 확정됐다고 보는 분위기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2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내 최고의결기구(중앙위)를 통해 이미 확정된 사항 아니냐”며 “중앙위 의결이나 최고위 보고 등이 이미 끝난 상황에서 더 이상 달라질 것은 없다”고 했다. 임미애 혁신위원도 “혁신안이 여야 합의를 통해 제도화된다는 얘기를 들어 반갑다”며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국회 정치개혁특위 야당 간사인 김태년 의원 역시 언론 인터뷰에서 “대표 합의안으로 갈 수도 있고 혁신위 안으로 갈 수도 있고, 두 개를 섞을 수도 있다”며 “상황과 현실에 맞게 적용하면 된다”고 했다.
하지만 비주류 진영은 대표에게 공천룰 협상에 대한 전권이 위임돼 있지 않은 만큼 이 논의는 이제 시작이라는 입장이다. 한 비주류 의원은 “문 대표에게 전권이 위임된 것은 아니지 않으냐”며 “공천 관련 합의를 하려면 의총을 포함해 어떤 형태로든 당내 의견수렴 절차가 필요하다. 논의는 이제 시작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조경태 의원은 모바일투표 논란을 거론하며 “또 다른 모바일투표가 변형된 꼼수가 아니냐는 목소리가 많다”고 지적했다.
비주류 의원 모임인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 소속 의원들은 국정감사 종료 이후 혁신위의 공천혁신안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민집모 소속의 한 호남 의원은 “‘20% 컷오프’라든가 전략공천 유지, 당원 권리배제 등을 담은 혁신안은 근본적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철수 의원도 국감 이후 추가 혁신안을 발표할 계획이라 발표내용과 수위에 따라 혁신안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재점화될 개연성이 다분하다.
의원 정수 및 비례대표 의석 비율을 둘러싼 당내 입장도 엇갈린다. 문 대표는 김 대표와의 회동에서 의원정수와 비례대표 의석수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박지원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에 “비례대표를 줄이더라도 농어촌 선거구를 살려 국가 균형발전이 되도록 합의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최승욱 고승혁 기자 applesu@kmib.co.kr
文대표측 “의결된 혁신안… 실천만 남았다” vs 비주류측 “의총 등 의견수렴 필요… 논의는 이제 시작”
입력 2015-09-30 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