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베이너 미국 의회 하원의장의 사퇴 선언 여파로 10월 1일로 예정된 연방정부의 ‘셧다운’(기능정지)은 일단 피하게 됐다.
미 상원 민주당과 공화당 지도부는 연방정부의 2015∼2016 회계연도 예산을 전년도 기준으로 12월 11일까지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법안을 29일(현지시간) 통과시키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워싱턴포스트가 28일 보도했다. 베이너 의장은 이달 말까지 정부 예산의 의회 통과 실패 시 10월 1일부터 셧다운에 돌입할 수 있는 상황에 직면하자 지난 25일 전격 사퇴를 선언했었다.
베이너 의장이 중도사퇴를 결단한 직접적 배경은 낙태 찬성단체인 ‘플랜드 페어런트후드’에 대한 정부의 예산지원 논란이다. 당내 일부 대선 경선 주자들과 보수파들은 이 단체에 대한 예산 지원이 중단되지 않으면 셧다운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베이너 의장이 셧다운 전략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자 당내 강경파들은 그의 퇴진을 거론했다. 이들 사이에는 베이너 의장이 오바마케어와 이민개혁, 이란 핵합의 등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주도하는 정국현안에 이렇다 할 견제를 하지 못한 채 끌려 다니기만 했다는 불만이 많았다.
셧다운 위기는 잠시 넘겼지만 공화당의 내분과 노선투쟁은 격화되고 있다. 베이너의 후임으로 같은 당 케빈 매카시 하원 원내대표가 거론되지만 수습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베이너 의장은 27일 언론 인터뷰에서 강경파들을 ‘거짓 선지자’로 규정하고 셧다운 주장을 ‘비현실적’이라고 거듭 비판했다. 당 내분은 대선 패배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대선 경선 주자인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베이너 의장 사퇴가 가져올 수 있는 최악의 사태는 공화당의 와해와 대선 승리 실패”라고 지적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대선 앞둔 美 공화당 노선투쟁 격화
입력 2015-09-30 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