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에게 주식매각대금 횡령 당한 정몽규 회장… 大法 “양도세 7억 안내도 된다”

입력 2015-09-30 02:29
주식 매각대금을 횡령한 직원 때문에 수십억원의 손해를 본 정몽규(53) 현대산업개발 회장이 7억여원의 양도소득세 부담을 벗게 됐다.

대법원 3부(주심 권순일 대법관)는 정 회장이 남양주세무서장을 상대로 “양도소득세와 증권거래세 7억9000만원을 취소해 달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패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일부승소 취지로 사건을 서울고법에 돌려보냈다고 29일 밝혔다.

정 회장은 1999년 부하직원 서모씨에게 자신이 보유한 신세기통신 주식 52만4000주를 팔라고 지시했다. 서씨는 정 회장의 주식을 173억원에 팔았지만 140억5000만원에 판 것처럼 서류를 꾸미고 차액 32억5000만원을 챙겼다. 남양주세무서는 실제 거래대금이 173억원이란 사실을 알고 정 회장에게 차액 32억5000만원에 대한 양도소득세와 증권거래세로 모두 7억9000여만원을 내라고 통보했다.

대법원은 “대리인이 위임의 취지에 반해 자산을 저가에 양도한 것처럼 속이고 양도대금 일부를 횡령했고, 돈 회수가 불가능해졌다면 이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부과할 수 없다”며 원심 판결을 뒤집었다. 다만 증권거래세 1780만원에 대해선 “이익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소유권이 이전되면 부과되는 유통세”라며 정 회장에게 납부 책임이 있다는 원심을 유지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